학생간호사
-
갑상선 결절 수술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5. 26. 21:00
2)갑상선 결절(Thyroid nodule) ①원인과 병태생리 -갑상선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덩어리가 형성되어 커져있는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한다. 크기는 수 밀리미터부터 수 센티미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여러 역학 연구에 의하면 만져지는 갑상선 결절은 전체 성인 인구의 4~7%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 결절은 흔하게 관찰되며 평생을 살다보면 10명 중 1명에서 만져지는 갑상선결절이 발생하게 된다. 갑상선결절을 가진 것으로 진단되면 갑상선암에 대하여 걱정을 하게 되는데 남성 결절의 약 8% 그리고 여성 결절의 약 4%로 정도만 암으로 판정되어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만져지는 갑상선 결절의 대부분은 90~95%는 암이 아닌 양성 결절이다. 양성결절의 경우 그 원인은 다양하나 대부분 콜로이드..
-
KALS(칼스) 취득 후기학생간호사/대학병원취업 2020. 5. 20. 03:55
http://www.kacpr.org/ 대한심폐소생협회 나 하나로 또 하나의 생명을 www.kacpr.org 우선 교육 신청을 합니다. 근처에서 시행중인 학교를 선택해서 신청합니다. 간호학과, 응급구조학과 등 학교내에서 시행하는것 제외 후 시행하는 교육이 있습니다. 교육비는 15만원 정도 했던 걸로 기억이 납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212230 한국전문소생술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의 전문소생술이 국내에 도입된 지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이후 소생술 분야는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표준화되고 활성화되었으며, AHA의 선진적 교육방법 book.naver.com 한국전문소생술 이라는 책을 구..
-
혈액 투석의 원리와 간호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5. 19. 04:15
혈액 투석의 원리와 간호 혈액 투석이란 선택성 투과성을 지닌 반투과막을 이용하여 확산, 삼투 여과 작용에 의해 신부전 환자의 혈액 중에 쌓인 대사성 노폐물과 과다한 전해질 및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혈액투성의 원리 1. 확산성(diffusion) : 반투막을 통해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쪽으로 두 구간의 농도가 같아질 때 까지 용질이 이동 하는 것이다. 확산의 결과로 신부전 환자의 혈중의 높은 요산 creatineine, 요소, potassium, 등이 투석액으로 이동하며, 투석액에는 인체에서 제거해야 할 입자가 적고, 인체에 부족한 입자는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투석액과 혈액간의 입자 농도가 평형이 되도록 물질 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2. 삼투(osmosis) :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
요도관 삽입방법 (uretheral catheter insertion) 방광세척 방법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5. 19. 03:50
도뇨 전에는 환자의 병력을 조사하여, 요도염이나 회음부 외상 또는 요도를 통한 수술 등과 같은 요도협착을 유발할 수 있는 과거력이 있는지 알아두어 요도관 삽입 중에 혹시 있을 수 있는 어려움에 대비한다. 또한 도뇨에는 일시적으로 소변을 배출시키는 법과 유치시키는 법이 있어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야한다. 1. 도뇨의 목적 1) 진단 -방사선 촬영시 방광이나 요도에 조영제 주입 - 배뇨 후 잔뇨 측정 - 방광기능의 측정 - 요 및 요배양 검사 2) 치료 - 요폐의 해소 (전립선 비대증 등) - 중환자 관리에서 시간당 요량의 정확한 측정 - 배뇨장애환자에서 간헐적 도뇨 - 방광이나 요도수술 후 부목 - 골반강 내 수술시 방광 손상 예방 및 수술 시야 확보 - 척추마취 후 배뇨 목적 2. 카테타의 종류 카테타는..
-
견인 대상자의 간호중재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5. 18. 03:34
견인 대상자의 간호 1.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방지 1)기능과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건강한 부위의 근육과 관절의 능동운동을 권장한다. footdrop 예방과 정맥 귀환을 돕기 위해 매 시간마다 발을 뒤로 젖히는 운동을 한다. 2)폐의 확장과 호흡기 삼출물의 배출을 위해 시간마다 심호흡을 한다. 3)하루에 2번씩 폐부분을 청진한다. 4) 하루에 2 ~2.5 L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5)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한 균형잡힌 식사를 하도록 한다. 6) 혈전정맥염 방지를 위해 정규적으로 검사를 하도록 한다. 2. 욕창없는 건강한 피부통합성 유지 1) 피부의 압력이나 자극이 없는지 뼈 돌출 부분을 살핀다. 2)견인붕대 부위로 피부자극이 없는지 관찰한다. 3)견인과 피부가 닫는 곳에 압력이 있는지 관찰한다. 4..
-
석고붕대 종류 및 간호중재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5. 18. 03:02
석고붕대 정의 반창고나 유리섬유붕대로 신체부위의 모양에 따라 굳어져서 부위를 고정시키는 도구이다. 목적 - 골편을 정복된 상태로 유지 고정시킨다. - 연조직에 균일한 압박을 가한다. - 조기에 움직임을 할 수 있게 한다. - 기형을 교정, 방지한다. - 약한 관절을 지지하고 안정시킨다. 석고붕대의 종류 - short arm cast : 팔꿈치 아래에서 손목까지 하는 붕대 - Gauntlet cast : 팔 꿈치 아래에서 손목까지 하고 엄지를 포함 시킨다.(thumb spica) - Long arm spica : 액와 위쪽에서부터 손목까지 팔꿈치는 보통 90도 각도로 고정된다. - short - leg cast : 무릎 아래에서 발가락까지의 붕대 - long - leg cast : 무릎 관절 위에서부터 발..
-
임신성 당뇨병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3. 24. 23:16
임신성 당뇨병 (GDM) 1. 정의 (Definition) 당뇨병은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탄수화물과 지방대사에 이상을 초래하는 내분비 질환이다. 임신성당뇨병은 탄수화물 대사 장애로 임신동안에 발생하며 분만 후에는 정상으로 돌아가거나 지속될 수도 있다. 예전에 당 내성을 경험하지 못한 임부가 임신 중에 과 혈당으로 나타나면 임신성 당뇨로 진단된다. 대개 임신 말기에 나타나며 경한 당 내성, 식후 고혈당이 특징이다. GDM의 진단은 임신 2기의 중반에 이루어지는데, 태아의 영양요구가 임신 2기 후반과 3기에 증가하고 또한 그 시기에 태반 호르몬과 insulinase, 코티졸의 인슐린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임부의 인슐린 요구는 3배 정도 증..
-
다큐 3일 신생아 중환자실 2013 1g의 기적학생간호사/간호학과 과제 2020. 3. 24. 23:11
다큐 3일 신생아 중환자실 2013 1g의 기적 신생아 중환자실에 있는 아기들은 조산아, 미숙아 들이다. 21주 5개월 만에 태어난 아이도 있다. 보통 병원에서는 환자를 치료한다고 하는데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아기를 키운다고 말한다. 여기의 신생아들은 하루에 2~30g씩 자란다고 한다. 한 아기의 체중을 재어 보니 2.07kg이였다. 보통의 신생아들은 2.8~3.3kg으로 태어났다고 한다. 이 아기의 태어났을 때의 체중은 1.4kg로 태어났다. 보통 신생아의 절반도 안 되게 태어난 것이다. 자가 호흡을 하지 못하는 신생아는 산소포화도도 떨어지고 산소호흡기도 하고 있다. 탈장으로 태어난 아이는 장의 위치가 올바른 곳에 있지 않아서 5개월 된 아이가 수술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수술실로 갈 수가 없다.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