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간호사
-
뇌졸중 증상과 진단 그리고 치료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10. 16. 02:54
뇌졸중 [ Cerebral vascular accident;, CVA ] 1) 원인 뇌혈관질환은 뇌졸중 또는 중풍으로 알려져 있으며 뇌혈류 장애로 중추신경계의 기능장애가 오는 것을 포괄적으로 나타나는 용어로 색전에 의해 폐색되거나 뇌혈관에 출혈이 발생했을 때 유발된다. 뇌졸중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허혈성과 출혈성으로 구분되며 허혈성은 다시 혈전성과 색전성으로 나눌 수 있다. 혈전성 폐색은 뇌혈관으로부터 유리된 혈전으로 인하며, 색전성 폐색은 심장 질환, 종양 등에서 유래된다. 출혈은 뇌내출혈과 거미막하출혈로 구분된다. 뇌졸중의 약 75~80%가 뇌경색, 15%가 뇌간 또는 거미막하 출혈, 나머지 10%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뇌혈관 질환 중 가장 많이 발생하며 심장질환과 암 다음으로 ..
-
성인간호학 신경과 실습학생간호사/간호학과 과제 2020. 10. 16. 02:51
1. 신경계 구조와 기능 1. 중추신경계 1) 뇌 (1) 대뇌 뇌 전체 무게의 80%를 차지. 좌․우 2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백질과 백질로 구분. 대뇌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과 후두엽으로 구분. •전두엽- 추체로의 중추가 있어 수의적 운동을 관장하고 우측 전두엽에 있는 운동중추의 흥분은 연수에서 교차하여 좌측 신체의 움직임을 조절. •두정엽- 중심구의 후면에 있으며 전두엽의 운동영역에 접해 있고 물체의 크기, 형태, 무게, 짜임새, 경도를 인식하고 유사한 두 물체를 식별하는 역할. •측두엽- 청각중추가 있어 소리를 받아들이고 의미를 판독하여 구어의 뜻을 이해. 미각과 후각을 받아들이 고 해석. •후두엽- 시각중추가 있어 시각적 정보를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역할. (2) 간뇌 두 대뇌반구가 합쳐..
-
하부식도 괄약근 이완불능증 흉통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10. 16. 02:48
하부식도 괄약근 이완불능증 (Esophageal achalasia) 연하시 식도 하부조임근(LES)이 정상적으로 이완하지 못하여 음식물이 내려가지 못하는 상태 (1) 원인 ① 식도 하부 2/3 지점의 신경 근육 손상으로 인함 ② 하부식도를 침범하는 위암이나 임파선 암, 방사선 조사, 약물 등에 의함 (2) 병태생리 및 증상 ① 식도 평활근의 연동 운동 소실 → 음식물이 들어가도 하부괄약근이 느슨해지지 않음 ② 연하곤란, 음식물 역류, 흉통(식후 20분~2시간에 나타남), 트림을 할 수 없음 등의 증상 초래 ③ 주로 30~40세에 발생 ④ 대상자의 경우 식도암 발생 빈도가 정상인에 비하여 10배 정도 높음 (3) 진단 ① 바륨 연하검사 : 식도 이완, 식도 하부 2/3에서 연동 운동 소실 ② 내시경 : 음..
-
소화성 궤양 정리, 수술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10. 16. 02:46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1) 정의 ① 펩신에 의한 십이지장 근위부, 위식도를 포함한 상부위장관의 궤양성 질환 ② 펩신의 공격적 효과가 위와 십이지장의 방어능력(점막)보다 클 경우 발생 ③ 위액(염산, 펩신)이 닿은 곳에서는 어디든지 발생 가능 (2) 역학 ① 서구 인구의 10%에서 발생, 위궤양(50~60대)과 십이지장궤양(40~50대) 호발 ② 남성>여성, 갱년기 이후에는 남성과 여성에서의 발병률 비슷 ③ 십이지장 궤양>위궤양 (3) 원인 ① Helicobacter pylori 감염 • 십이지장 궤양 환자(90%), 위궤양 환자(70%)에서 감염 발생 • Helicobacter pylori 감염자 20명 중 1~2명이 궤양으로 발전 • 만성위염 → 소화성 궤양으로 진전 ② NSAIDs ..
-
장루 식이, 세척, 관리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10. 16. 02:44
장루 간호 장루(ostomy) : 장 내용물이 장에서 복부의 피부에 있는 누공을 통해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수술적 처치 (1) 회장루 간호 ① 수분 전해질 균형 유지 • 결장에서 수분 섭취 되지 않아 초기 1,000~1,800ml/일 배설, 점차 500ml/일 • 수분 섭취 증가 : 2~3L/일 추가 섭취, 이온음료로 전해질 보충 • 소변 배설 감소로 요산 결석 호발 ② 식이 • 비타민 A, D, E, K 보충 • 폐색 영향 : 팝콘, 버섯, 줄기가 있는 채소, 거친 음식, 껍질이 있는 음식 제한 (2) 결장루 간호 ① 결장루 세척 • 목적 : 형성된 배변 제거 및 배변 및 장 운동 시간을 규칙적으로 함 • 시간 : 수술 전 배변 시간(1회/1~2일 시행) 회장루 결장루 회장루상행 횡행 S상 대변..
-
결장직장암 증상 및 치료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10. 16. 02:41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대장암) 1) 역학 ⑴ 대부분 선암 ⑵ 암발생률 : 3위, 50~60대 ⑶ 호발부위 ① 직장, S상 결장, 상행결장 ② 대부분 성종성 용종(adenomatous polyp)에서 시작 2) 위험 요인 ⑴ 연령 : 50세 이상 ⑵ 가족력 ⑶ 비만, 흡연 ⑷ 결장 용종(polyp)이나 선종 ⑸ 식생활(저섬유, 고지방 식이, 정제된 음식), 생활환경의 변화(좌식, 사무직)와 발생률간에 높은 상관관계 있음 ⑹ 염증성 장질환 3) 병태생리 ⑴ 저섬유식이 → 변생성 소량 → 대변 장내 통과시간 길어짐 → 변내 발암물질과 장점막의 접촉 시간 길어짐 ⑵ 선종성 용종 → 악성 변성 → 장벽 침윤 → 주변 장기로 전이 4) 증상 ⑴ 비특이적이고 질병이 진전될 때까지 나타나지 않음..
-
성인간호학 소화기내과 실습학생간호사/간호학과 과제 2020. 10. 16. 02:37
1. 위장계 구조와 기능 1) 구강 ① 구조 - 뺨과 경구개, 연구개, 치야, 침샘, 혀로 구성 ② 기능 · 저작 : 소화의 시작으로 제5뇌신경을 통한 반사 작용에 의해 지배되며 구강 내 음식물로 인해 자극하며 음식물을 부드럽게 분해하여 식도 점막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기능 · 타액 분비 : 침의 점액 성분이 음식 덩어리를 부드럽게 하며, 용해가 가능한 음식물을 노이고 또한 맛봉오리를 자극 · 연하 : 연수에 위치한 연하중추에 의해 조절되는 수의적인 운동으로 수의적 구강기, 불수의적 인두기, 불수의적 식도기의 3단계의 과정 2) 식도 ① 구조 - 직경 2cm, 길이 23cm의 속이 빈 근육성 관으로 기관과 후두 뒤편에 있으며 종격동과 횡격막을 지나 제6경추에서 제11흉추의 위치까지 아래로 뻗어 있음..
-
정신간호학 실습 활동 프로그램 표학생간호사/간호학과 과제 2020. 10. 16. 02:33
일 시 년 월 일 요일 장 소 강당 프로그램명 미술요법 - 콜라주기법 참가대상자 정신병동 환우분들 진행 내용 준비물 살색 하드보드지 1개, 25개의 도안(A4용지), 찢는종이, 풀, 가위, 파스텔 간식: 마가렛트 내용 1. 도안을 나눠준다. (1인당 1장씩, 혼자하기 어려운 사람은 같이) 2. 도안 위에 풀칠을 해서 준다. 3. 찢은 종이를 그 위에 붙이라고 한다. 4. 완성된 도안들을 오려서 하드보드지에 옮겨 넣는다. 5. 하드보드지를 꾸며 마무리한다. 활동 참가 후 느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