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소화기내과 실습학생간호사/간호학과 과제 2020. 10. 16. 02:37728x90
1. 위장계 구조와 기능
1) 구강
① 구조 - 뺨과 경구개, 연구개, 치야, 침샘, 혀로 구성
② 기능
· 저작 : 소화의 시작으로 제5뇌신경을 통한 반사 작용에 의해 지배되며 구강 내 음식물로 인해 자극하며 음식물을 부드럽게 분해하여 식도 점막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기능
· 타액 분비 : 침의 점액 성분이 음식 덩어리를 부드럽게 하며, 용해가 가능한 음식물을 노이고 또한 맛봉오리를 자극
· 연하 : 연수에 위치한 연하중추에 의해 조절되는 수의적인 운동으로 수의적 구강기, 불수의적 인두기, 불수의적 식도기의 3단계의 과정
2) 식도
① 구조 - 직경 2cm, 길이 23cm의 속이 빈 근육성 관으로 기관과 후두 뒤편에 있으며 종격동과 횡격막을 지나 제6경추에서 제11흉추의 위치까지 아래로 뻗어 있음
· 점막밑층 : 유룬층은 근육층과 점막층을 연결하고 혈관과 림프관 분포
· 근육층 : 샘이 있으며 음식물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점액 분비
② 기능
· 식도의 상부는 가로무늬근으로 되어 있으나 평활근처럼 작용하여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할 때 수축과 이완을 하고 하부는 평활근으로 되어 있어 음식물을 위 쪽으로 밀어내는 기능
· 점액은 음식이 식도를 통과할 때 식도 점막 보호
· 하부식도괄약근은 산성 위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점막을 손상 방지
3) 위
① 구조 - 왼위사분구역(LUQ)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부학적으로 위저부, 몸체, 유문동의 세 부분 1500ml의 용적
② 기능 - 음식물을 저장하고 위액과 혼합하여 유미즙 상태로 만들어 일정한 속도로 십이지장으로 배출
· 분문샘 : 점액을 분비
· 주세포 : 점액과 펩시노겐을 분비하며 펩시노겐을 펩신으로 전환
· 벽세포 : 염산과 수분을 분비, 내인자를 생산
· 경부세포 : 점액을 분비
· 유문샘 : 가스트린과 점액을 분비
4) 소장
① 구조 - 2.5cm의 지름, 길이가 7m에 이르는 긴 관으로 십이지장, 공장, 회장이 회장맹장판막에 의해 대장과 구분
· 십이지장 : 위의 유문판에서부터 공장 부위에 연결될 때 까지 약 25cm 길이
· 공장 : 소장의 중간 부분으로 약 2.5m의 길이
· 회장 : 소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3.6m이며 회장맹장판막에서 결장과 연결
② 기능
· 탄수화물을 단당류로, 지방을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음식물의 소화를 완성
· 소화된 것을 흡수
· 담즙과 췌장액 및 장분비액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호르몬을 분비
· 나머지 내용물들을 대장 쪽으로 이동
5) 대장
① 구조 - 회장맹장판막에서 항문까지 연장되는 기관으로, 길이는 약 1.5~1.8m이고 지름은 약 5cm
· 맹장 : 대장의 첫 5~7cm 부분으로 회장맹장판막에서 회장과 연결, 맹낭으로 충수가 붙어 있으며 복부의 오른아래구역에 위치
· 결장 : 오름결장, 가로결장, 내림결장, S자결장으로 소장보다 지름이 크고 융모가 없으며 점액을 분비
· 직장과 항문 :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S자결장에서부터 항문까지 뻗어있으며 두 개의 괄약근이 항문의 개구를 조절
② 기능
· 수분, 염화물 및 소듐 흡수
· 유미즙의 양 감소
· 장 박테리아의 비타민 B군, 비타민 K 합성
· 윤활제 역할, 점막을 보호하는 점액을 분비
· 분변을 형성하여 배변 시까지 저장
· 신체로부터 대변 배출
6) 간
① 구조 - 약 1300~1800mg으로 우상복부에 위치하며, 횡격막 바로 아래에 위치, 윗부분은 폐와 맞닿아 있고 아랫부분은 위와 장의 지붕
② 기능
· 담즙 생산
· 탄수화물 대사
· 지방 대사
· 단백질 대사
· 스테로이드 대사
· 순환 기능
7) 담낭
① 구조 - 간의 오른엽 바로 아래에 위치한 작은 가지모양의 주머니로 한 번에 20~60ml의 담즙 보유
② 기능
· 담즙이 간에서 장으로 배설되는 통로 제공, 담즙 흐름 조절
· 간에서 분비된 담즙 저장, 농축
8) 췌장
① 구조 - 위의 후방에 위치한 회백색의 장기
② 기능
· 아밀라제 : 탄수화물을 덱스트린, 말토스로 분해
· 리파제 : 지방을 글리세롤, 지방산으로 가수분해
· 트립신 : 단백질 분해
· 글루카곤 : 신체가 혈당수치 상승 필요할 때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전환
· 인슐린 :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전환하여 혈당 낮춤
2. 간호사정
1) 건강력
① 개인력과 가족력 : 이전의 위장계 문제와 관련된 입원력, 수술, 과거와 현재에 복용하고 있는 약에 대해 질문, 가족들이 암이나 염증성 장질환 등과 같이 유전적 경향이 있는 질화이나 간염과 같은 전염성 질환에 걸린 적 있는지 질문
② 식이와 영양상태
③ 복부 통증
④ 오심과 구토
⑤ 피로와 허약
⑥ 배변습관과 양상
색과 양상
의미
흰색
바륨이 섞임
회갈색
담즙 부족, 담도 폐색
적색
하부 위장관이나 직장 출혈
검정색
상부 위장관 출혈
녹색
담즙을 동반한 빠른 연동운동
2) 신체검진
⑴ 구강검진
① 시진 : 장갑을 끼고 의치를 제거하고 입의 왼쪽으로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검진
· 입술의 색깔, 갈라짐, 궤양 및 결절, 양쪽이 서로 대칭
· 혀는 색깔, 궤양, 부종, 하얗게 덮혀 있지 않은지, 한 방향으로 휘어져 있지 않은지 검사
· 구강 점막과 잇몸에 발적, 창백, 부종, 궤양, 백반, 함몰, 출혈 등을 확인
· 치아는 우식증, 의치인지, 치아가 빠졌거나 부러졌는지 검사
· 혀의 수의적 또는 불수의적 움직임 관찰
② 촉진 : 거즈나 압설자를 사용하여 혀를 누르는 동안 검사
· 편도선의 이상 여부, 병변이나 궤양, 목젖의 기울기, 비정상적인 구강의 냄새 등을 조사
· 입술, 잇몸, 볼 점막과 혀 등을 만져보고 덩어리나 부종, 압통 등이 있는지 조사
· 삼킬 때 어려움이 있는지, 질식된 적이 있는지 조사
⑵ 복부검진 - 복부를 사정하기 전에 환자는 소변을 보고 앙와위의 자세로 우상복부부터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진행하며 시진, 청진, 타진, 촉진 순으로 검진
① 시진
· 복부 피부를 관찰 발진, 변색, 반흔, 점상출혈, 선, 터진 자국과 확장된 정맥들이 있는지 관찰
· 평평하거나 오목하거나 둥글거나 팽만되어 있는 윤곽
· 옆구리가 팽륜되었는지, 피부가 반짝거리며 팽팽하지 않은지 등을 사정
· 배꼽 모양과 위치, 색 등을 관찰하며 복부의 움직임을 주의
· 복부대동맥에 의한 박동과 연동운동에 대해 관찰
② 청진
· 반드시 방광을 비우고 청진
· 복부의 각 구역을 1분 이상 청진하여 전체를 5분 동안 청진
소리
특징
정상적 장음
클릭하는 소리
큰소리 장음
연동운동이 심한 것(위장염, 조기장폐색)
잡음
비정상적인 음(부분폐쇄, 동맥류)
마찰음
비정상적인 음(간종양, 비장경색)
③ 타진
· 복부에 있는 기관들의 크기와 위치, 수분과 공기, 덩어리 등을 찾기 위해 사용
· 간과 비장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하고 방광의 팽만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 사용
· 복부 4구역 모두 타진하고 그 소리를 비교
· 정상적인 소리는 고창음으로 장기, 수분 또는 덩어리가 있으면 탁음
· 복강 내에 동맥류가 의심되는 환자, 복강 내 기관을 이식수술 환자는 금기
④ 촉진
· 덩어리, 반동압통, 압통 부위 등을 사정
· 압통 부위는 조심스럽게 마지막에 촉진
· 심부촉진으로 복강 내 기관과 덩어리들의 크기, 모양 확인
⑶ 직장과 항문검진 - 신체적 불편감과 정신적 당혹감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충분한 설명으로 여자는 심스체위나 배횡와위에서 생식기 검진을 한 후 쇄석위, 남자는 진찰대 위에 상체를 구부리는 자세
① 시진
· 외치핵, 누공, 치열, 농양, 궤양, 염증, 발적, 덩어리, 피부의 벗겨짐 등이 없는지 확인
· 비정상적인 병변 확인 위해 환자에게 배변 시 같은 힘을 주라고 하여 항문 탈출, 용종, 내치핵, 치열 등을 확인
② 촉진
· 검지 손가락으로 배꼽방향 쪽으로 항문 속으로 삽입
· 입으로 호흡하도록 설명
· 손가락 삽입 시 항문괄약근의 강도 사정하며, 저항감이나 출혈 시 중단
· 항문벽 주위로 손가락을 돌리면서 압통, 덩어리 등을 촉진
· 여자는 직장의 전벽을 따라 자궁경관 촉진
· 남자는 직장의 전벽을 통해 전립샘 촉진
· 검진이 끝나면 손가락에 묻어 있는 대변 색깔, 특성 관찰하며 대변은 잠혈 반응검사위해 검사실로 보냄
3) 진단적 검사
· 약물, 조영제 사용하기 때문에 영양상태, 수분과 전해질 균형 상태 관찰하여 약물, 조영제 알레르기 유무 확인
3.소화호르몬과 소화효소의 종류 및 작용
위장관계 호르몬
-가스트린 : 위산과 펩시노겐의 분비를 자극하고 위 혈류량을 증가시킴, 위 평활근 수축과 운동성을 자극함
-세크레틴 : 췌장액과 간의 담즙분비를 자극함, 위산 분비와 위운동을 억제함
-콜레시스토키닌 : 췌장액과 소화효소의 분비를 자극, 담낭 수축 자극, 위 운동억제
-엔테로가스트론 : 위산분비와 운동성을 억제, Oddi 괄약근을 이완
소화효소
◦구강
프티알린-전분을 맥아당으러 분해
◦위
위 펩신-단백질을 폴리펩티드로 분해
위 리파제-유지방 소화
◦췌장
췌장 아밀라제-전분을 맥아당으로 분해
트립신-폴리펩티드 고리를 분해
췌장 리파제-유화된 지방을 단일 glyceride로 분해
◦소장
말타아제-이당류를 포도당으로 분해
덱스트리나제-alpha limit dextrin을 포도당으로 분해
락타아제-유당을 갈락토즈와 포도당으로 분해
수크라제-설탕을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
엔테로펩티다제-트립신을 활성화
펨티다제-폴리펩티드를 아미노산으로 분해
장 리파제-중성지방을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
4. 간생검시 간호
1) 검사 전 간호
· 체위는 앙와위, 오른팔 윗부분을 들어올려 왼쪽을 아래로 한 측위
· 프로트롬빈 시간 조사하여 혈액응고 확인
· 검사 전날 밤부터 금식, 검사 전 진정제 투여
· 바늘이 삽입되는 동안 가만히 있으면서 숨을 내쉰 상태에서 5~10초 동안 숨을 멈추는 중요한 교육
· 검사 중 흉부를 움직이면 간, 횡격막에 열상 입어 기흉, 복막염의 원인
2) 검사 후 간호
· 활력징후 자주 측정
· 시술부위 드레싱, 혈종형성, 출혈이나 복막염 증상 관찰
· 처음 1~2시간 도안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로 24시간 동안 침상 휴식
· 호흡곤란과 같은 호흡기계 상태, 통증 사정
5. 감염환자 표시 및 관리
· 6개월 이내인 경우는 급성 감염,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만성 감염
· 원인, 염증의 정도, 섬유화 외 진행 정도로 표시
· 바이러스성은 3~16주 안에 완전한 회복 가능
· B형 간염은 만성감염, 간경변증, 원발성 간세포 암 초래
6. 복수 천자의 목적, 방법, 부작용
1) 목적 - 복강 내 수분을 제거하여 복강 내압 완화, 배양검사 위한 용액 채취
2) 방법
· 시술 전 방광을 비움
· 상체를 올리고 등을 지지한 상태에서 다리를 발판에 놓음
· 국소 마취제 사용 후 투관침을 배꼽 왼쪽 아래에 무균적으로 삽입
·3) 합병증
· 복강 내 압력 변화와 혈관내에서 간질강으로의 수액 이동되어 순환 혈량 감소로 인한 쇼크
· 체순환 가모, 신부전, 조직 관류의 저하로 강성혼수 초래
· 포타슘의 고갈, 복막염, 출혈, 감염 등
7. 위암
1) 원인 : 환경적인 요인의 헬리코박터균 감염, 저장기간이 오래된 신선하지 않은 음식, 염분이 많은 음식, 질산염이 많이 함유된 음식 섭취, 흡연
2) 증상 : 상복부 불쾌감이나 팽만감, 소화 불량, 체중 감소, 구역질, 흑색변, 토혈, 빈혈, 급성 복통
3) 진단 : 위내시경 검사, 조직검사 통해 위선암 진단 후, 초음파 내시경 시행하여 종양의 침범 깊이 판단한다. 복부 초음파, CT, MRI 검사 시행하여 병기 결정
4) 치료 : 합병절제, 기능보존 수술(유문부 보존 위절제술, 미주신경 보존 위절제술), 내시경적 치료, 항암 치료(5-FU, 시스플라틴, 독소루비신, 마이토마이신도시탁셀, 이리노테칸, 카페시타빈, 옥살리플라틴)
8. 간암
1) 원인 :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지속적인 과량의 음주, 간경변
2) 증상 : 오른쪽 윗배의 덩어리, 황달, 식욕부진, 체중감소
3) 진단 : 복부 초음파, CT, MRI, 간동맥 혈관조영술과 혈액 속의 간암 표지자(알파 태아단백) 상승
4) 치료 : 수술적 절제, TACE, PEIT, RFA
9. 대장암
1) 원인 :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 섬유질 섭취 부족, 칼슘, 비타민D의 부족, 굽거나 튀기는 조리방법, 운동 부족, 염증성 장 질환, 대장 용종, 유전적 요인, 50세 이상의 연령
2) 증상 : 빈혈, 식욕부진, 체중감소, 설사 또는 변비, 직장출혈, 배의 덩어리
3) 진단 : 대장 내시경 검사, 직장수지검사, 대변검사, 대장 조영술, CT 또는 MRI 검사, 초음파검사, 혈액검사
4) 치료 : 용종 절제술
10. TPN(총 비경구영양법)
1) 목적
· 위관영양 : 구강섭취가 부적절하거나 불가능할 때, 관을 통해 환자에게 수분과 영양물 제공
· 세척 : 위를 씻어내는 것
· 세정 : 위내의 혈액이나 분비물 제거 위하여 식염수로 세척
· 위액분석 : 위액의 성분을 분석
2) 대상자
· 구강으로 음식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 혼수상태나 마비상태, 무의식 상태의 환자
· 연하곤란 대상자
· 먹는 것을 거부하여 심한 영양실조에 있는 환자
· 심하게 체력이 떨어져 먹는 것조차 힘든 환자
3) 금기 대상자
· 순환성 질환자
· 장 마비 환자
· 장 폐색 환자
· 장점막의 허혈이 있는 환자
4) 대상자 간호
· 최적의 영양 상태 유지
· 감염 예방
· 수분 균형 유지
11. Tube의 종류별 사용목적, 방법, 간호
1) 종류
⑴ 짧은 비위관 - 위와 십이지장에 사용
① Levin tube : 수분이나 가스를 제거, 위 내용물 채취, 영양액이나 약물 투여
② Salem sump tube : 위를 감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이중관강
⑵ 긴 비장관 - 장폐색 시 장내의 가스와 수분 축적 예방위해 소장에 삽입(Miller-Abbott tube, Cantor tube 등)
2) 방법
· 좌위의 자세
· 코끝에서부터 귓불까지의 길이, 귓불부터 칼돌기까지의 길이를 더한 것을 NEX 측정법
· 수용성 윤활제를 묻혀 부드럽게 삽입하여 구강인두에 도달하면 환자에게 삼키라고 지시
· 관의 위치 확인을 위해 위 내용물을 흡인, 주사기로 관에 공기를 주입하여 청진기로 공기가 들어가는 소리를 청진
· 방사선 불투과선의 관은 X-선 촬영 찍어 위치를 확인
3) 간호
· 외비공을 부드럽게 닦아 주고 수용성 윤활제를 발라줌
· 비공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관에 테이프를 감아줌
· 떨어져 나온 탈락 조직들을 제거, 구강간호를 시행
· 껌을 씹게 하거나 새콤한 사탕이나 얼음 조각을 빨게 함
· 인후통 호소 시 국소마취제 함유 용액으로 구강 함수, 함당정제 처방 필요
12. 소화기계 진단검사 종류와 간호
1) 상부위장관 촬영술(UGI)
· 검사 전 8~12시간 동안 금식, 약복용 중지, 전날 자정부터 금연
· 검사 후 변비 예방 위해 수분 섭취 증가, 설사약 투여
· 검사 후 72시간 동안 대변색깔이 흰색은 정상이나 복부팽만과 함께 변비 호소 시 바륨매복
2) 하부위장관 촬영술
· 검사 전 1~2일간 저섬유성 식이, 맑은 유동식 섭취
· 당일 아침 좌약 삽입, 청결관장
· 변비 예방 위해 수분 섭취 증가
· 통증, 고창, 대변이 나오지 않거나 출혈 시 보고
3) 위내시경 검사
· 좌측으로 눕힌 상태로 구강을 통해 삽입하여 검사
· 검사 전 8~12시간 동안 금식
· 이완을 돕기 위해 midazolam, diazepam, meperidine을 투여
· 항콜린성 약물의 투여는 분비물을 줄이고 서맥 예방
· 구토 예방 위해 인두 후방에 국소마취제 분무
· 검사 후 안정제나 국소마취가 풀려서 구개반사가 돌아올 때까지 금식
· 출혈, 연하곤란, 발열 등의 천공증상 사정
4) 복부 초음파 검사
· 공기, 가스가 영상의 흐림을 위해 검사 전 8~12시간 동안 금식
· 복수, 종양, 담석, 지방 조직과 농양, 낭종, 혈종 등을 확인
· 복강내 가스가 초음파를 방해하므로 주의
13. 용종제거술 후 간호
(1) 영양관리
① 연동운동 감소 위해 고열량, 고단백, 고탄수화물, 저잔여식이, 유동식(장내 분변량 줄이기 위해) 섭취
② 가능하면 정상식이로 영양보충, 필요시 비경구적 영양요법(TPN)실시
(2) 감염관리
① 수술 전 24~48시간 동안 경구로 항생제 투여 : 장내 세균수 감소
② 수술 전 수술 부위 준비 시행(청결관장)
14. TACE, PEIT, RFA 시술 전·후 간호, 목적, 적응증
1) TACE(간암 화학 색전술)
⑴ 간호
· 시술 전 6~8시간 금식, 당뇨로 인슐린을 투여
· 혈전 용해제 복용 환자, 혈압 강하제 복용, 신장질환 환자의 경우 별도의 조치 필요
· 시술한 쪽의 다리가 구부리지 않도록 24시간 동안 침상 안정
· 시술 부위에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하루 동안 주의 깊은 관찰, 출혈 시 바로 알림
⑵ 목적 - 간종양의 치료에 시행하기 위한 시술
⑶ 적응증 - 악성림프종, 소화기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연조직골 육종, 유방암, 난소암, 폐암, 기관지암, 방광종양
2) PEIT(경피적 에탄올 주입술)
⑴ 간호
· 시술 전 8~12시간 동안 금식
· 시술 당일 정맥주사(18G) 확보하여 수액 주입
· 처음 1~2시간 담즙 누출 위험 최소화 위해 우측위자세로 절대 안정, 3시간동안 금식
⑵ 목적 - 피부를 통해 간암 조직에 주사바늘로 순수 알코올 주입하여 암세포를 죽이기 위해 시술
⑶ 적응증 - 총 간 볼륨중 30% 미만인 Tumor인 경우
3) RFA(고주파 열 치료)
⑴ 간호
· 시술 전 위, 대장 등의 팽만 예방 위해 6시간 이상 금식
· 당뇨약 중 Metformin 성분은 입원 하루 전날부터 중지
· 출혈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아스피린, 항응고제 등 시술 전 중단
· 시술자의 지시에 따라 호흡을 조절하는 등 환자의 협조 필요
⑵ 목적 - 간암을 수술하지 않고 암세포에 전극을 삽입하여 고주파를 발생시켜 여기서 생긴 열로 암세포를 태워 제거위해 시술
⑶ 적응증 - 5cm 이하의 원발성 간암, 전이암 3개 이하인 경우, 수술 할 수 없는 경우, 수술 후 재발 경우
14. ERCP(내시경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1) 시술 전·후 간호
· 시술 전 8~12시간 동안 금식
· 조영제로 인한 과민 반응 예방 위해 알러지 사정
· 시술 후 췌장염 발생 확인 위해 시술 전 혈장 아밀라제 측정
· 마취가 완전히 풀릴 때까지 6시간 정도 금식과 충분한 안정
· 패혈증, 감염, 천공 등의 증상에 주의하며 지속적인 관찰
2) 목적 - 담도질환의 진단 및 치료, 췌장염, 췌관내종양 등 췌장 질환 진단하기 위해 시행
3) 적응증 - 황달, 담관결석, 총담관의 악성종양, 간내 담관의 악성종양, 재발성 급성췌장염, 만성췌장염, 췌관암
16. 치료식의 종류 및 영양
고지혈증식
1. 밥은 현미, 보리 등을 섞은 잡곡밥이 좋으며 기호에 따라 적정량 혼식을 합니다. 단, 입맛에 맞지 않을 경우 무리하게 잡곡밥을 고집하지 말고 쌀밥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고기, 두부, 생선 등의 단백질 반찬도 골고루 섭취하되 고기는 기름기와 껍질을 제거한 살코기로 섭취합니다.
3. 채소찬은 제철 채소를 이용하여 싱겁게 조리하되 장아찌, 김치 등의 염장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간식은 정규 식사 사이에 제철 과일과 저지방우유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전체적인 조리 방법은 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해 튀기거나 부치기 대신 굽기, 찜, 삶는 방법을 주로 선택하나 맛을 내기 위해 적당량의 식물성기름(참기름, 들기름 등)은 사용하여도 좋습니다.
간염식
1. 회복을 위해 충분한 에너지 섭취가 필요하므로 당질과 지방을 통해 에너지 섭취를 늘립니다. 식사량이 적을 시에는 감자, 고구마 , 과일, 주스 등의 간식을 자주 먹습니다.
2. 고기, 생선, 두부, 계란 등의 단백질 반찬을 충분하게 먹습니다.
3. 부족한 비타민 및 무기질 보충을 위해 채소와 과일을 충분하게 먹습니다.
위궤양식
위산분비를 증가시키거나 위점막을 직접 자극하는 음식(후추, 카페인, 알코올)들과 개별적 증상 악화 식품을 제한합니다.
1. 골고루 규칙적으로 식사하고, 과식을 피합니다.
2. 자극을 주는 음식이라도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 다시 한번 섭취해 보도록 합니다.
3. 천천히 식사합니다.
4. 커피, 콜라같은 카페인 음료는 피하고 술을 끊습니다.
5. 금연합니다.
6. 자극적인 음식재료(고춧가루 등)는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17. 질환
Gastritis
만성위염, 위궤양, 위경련
Gastric cancer
위염, 덤핑증후군, 위궤양
Ulcerative colitis
강직성척추염, 크론병
Cholangiocarcinoma
담낭결석, 총담관결석
Pancreatitis
췌장암, 급성췌장염
Hepatitis
급성A형간염, 독성간염
Encephalopathy
간염, 복막염, 식도정맥류
Esophageal ulcer
식도암, 식도협착
GB Stone
담관암, 담낭암, 간내담석
Ulcerative colitis
크론병, 대장용종, 관절염
Gastroenteritis
세균성이질, 식중독
Peptic ulcer
십이지장궤양
Duodenal ulcer
위궤양
Cholecystitis
담낭암, 담낭결석
Hepatocellular Carcinoma
전이성간암, 간농양, 간염
Liver cirrhosis
담도폐쇄
Crohn's diesease
골다공증, 관절염, 항문누공
Appendicitis
복막염, 패혈증
Liver abscess
아메바성 간농양
Pancreatitis
담낭결석, 췌장전이암
IBD(inflammatory bowel disease)
크론병, 베체트병
'학생간호사 > 간호학과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과제 (0) 2020.10.16 성인간호학 신경과 실습 (0) 2020.10.16 정신간호학 실습 활동 프로그램 표 (0) 2020.10.16 아동간호학 자주쓰는 의학용어( 소아과 의학용어) (0) 2020.10.15 원격진료 의견 (0) 2020.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