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성인간호학 신경과 실습
    학생간호사/간호학과 과제 2020. 10. 16. 02:51
    728x90

    1. 신경계 구조와 기능

    1. 중추신경계

     1) 뇌

      (1) 대뇌

      뇌 전체 무게의 80%를 차지. 좌․우 2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백질과 백질로 구분.    

      대뇌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과 후두엽으로 구분.

      •전두엽- 추체로의 중추가 있어 수의적 운동을 관장하고 우측 전두엽에 있는 운동중추의 흥분은 연수에서      교차하여 좌측 신체의 움직임을 조절. 

      •두정엽- 중심구의 후면에 있으며 전두엽의 운동영역에 접해 있고 물체의 크기, 형태, 무게, 짜임새, 경도를     인식하고 유사한 두 물체를 식별하는 역할.

      •측두엽- 청각중추가 있어 소리를 받아들이고 의미를 판독하여 구어의 뜻을 이해. 미각과 후각을 받아들이     고 해석.

      •후두엽- 시각중추가 있어 시각적 정보를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역할. 

      (2) 간뇌

      두 대뇌반구가 합쳐지는 중간, 뇌량의 밑에 위치, 몇 개의 작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중요한 구    조로 시상과 시상하부가 있다. 

      •시상- 제3뇌실과 측뇌실의 외측벽을 형성, 말초에서 오는 후각을 제외한 감각 자극을 대뇌 피질에 전달하     는 역할. 원초인 정서 반응을 조절. 

      •시상하부- 대뇌하부에 위치하고 뇌하수체와 연결. 신경핵이 모여 있으며 자율신경계 하 행로의 연결지점.

      (3) 뇌간

      뇌간은 중뇌, 뇌교, 연수로 구성. 대뇌반구에서 두 개의 기저부위인 대공까지 이르며 이곳에서 척수로 이어    진다.

      •중뇌- 간뇌와 뇌교사이에 있는 작은 구조로 제 3,4 뇌신경의 기점. 중뇌의 외측에는 외척수시상로가 지나가     고 중심과 하부는 추체로의 신경섬유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동안 신경의 핵 복합체가 있다. 

      •뇌교- 중뇌와 연수 사이에 위치하고 연수와 대뇌 사이, 그리고 양쪽 소뇌를 연결하는 교량이 근처에 있다. 

      •연수- 약 2.5cm 크기로 뇌의 마지막에 위치. 뇌 피질로부터 척수로 가는 운동신경섬유와 척수에서 들어오     는 감각신경섬유의 통행로.

      (4) 망상계

      뇌간의 중심부를 이루며 많은 감각신경섬유들이 이곳을 통과. 뇌의 여러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뇌간, 소뇌와    도 연계되어 있는데 이를 망상활성계 라고 부른다.

      (5) 소뇌

      대뇌각에 의해 교와 연결되며 뇌교의 후방에 위치. 시상 및 대뇌피질과 연결되어 운동기능 조정과 섬세한     운동, 균형, 위치감각을 조절.

     2) 뇌의 보호구조

      (1) 뇌막

      섬유성 결체조직으로 대뇌반구와 척수를 덮고 있으며, 대뇌와 척수를 지지하고 보호하며 영양과 혈액 공급    의 통로. 뇌막은 경막, 거미막, 연막으로 구성. 

      •경막- 뇌막 중 가장 바깥층을 이룸.

      •거미막- 경막 다음에 위치하는 막으로 연막과는 실같은 많은 조직으로 연결. 거미막과 연막 사이의 공간을     거미막하공간이라고 부르며 뇌척수액이 순환.

      •연막- 대뇌 표면의 주름 모양대로 뇌 및 척수와 밀착.

      (2) 뇌척수액

      뇌에는 상호 연결되는 공간인 4개의 뇌실이 있는데, 이곳에서 뇌척수액이 생성되고 순환.

      뇌척수액은 무색투명한 액체로 맥락총의 분비 및 확산 작용에 의해 혈액으로부터 생산.

      외부충격으로부터 뇌와 척수를 보호, 영양소를 신경세포에 공급, 노폐물 제거.

      각 뇌실을 순환하고 제4뇌실에 있는 대공과 루시카공을 통해 척수와 뇌의 거미막하공간으로 이동.

      (3) 뇌의 혈액공급

      두개내 혈액공급은 한 쌍의 내경동맥과 한 쌍의 추골동맥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 대뇌반구의 혈액 공급은 내경동맥에서 나오는 전대뇌동맥, 중대뇌동맥, 추골동맥의 가지에서 나오는 후대    뇌동맥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뇌간과 소뇌는 기저동맥과 추골동맥의 가지에서 나오는 혈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는다.

      (4) 뇌혈관장벽

      뇌의 모세혈관 내피세포로 형성된 특수한 구조. 이물질을 비롯한 여러 물질들이 중추의 신경세포에 접근하    지 못하게 하는 역할. 

     3) 척수 

      - 척추관 속에 위치하는 손가락 굵기의 원추모양의 신경. 전체 길이는 성인의 경우 대략 40~45cm, 위로는      뇌의 연수와 연결되고 아래로는 제 1~2요추까지 내려와 있다.

      - 척수는 31개의 분절로 구성. 경수(8개), 흉수(12개), 요수(5개), 천수(5개), 미수(1개). 각 분절 좌․우에서는 척      수신경이 나온다.

      - 척수의 기능으로는 말초신경과 관계하여 반사작용을 하는 것. 

      - 척수를 횡단면으로 잘라 보면 둥근 모양의 백질과 H모양의 회백질로 구분. 

       •회백질의 후면- 말초와 상행감각 신경로 로부터 감각을 수용.

       •회백질의 측면과 중앙측면- 교감신경원, 장기 감각 수용기, 장기운동신경원.

       •전면의 회백질 세포는 하부운동신경원의 기점. 

      - 백질의 감각신경로 중 후방로는 촉각, 압각, 진동, 위치 감각을 주로 전달. 전측로는 통증과 온도감각을 시      상과 대뇌피질에 전달. 측로는 뇌로부터 척수의 전근에 운동성 자극을 전달. 

    2.말초신경계

     1) 뇌신경

      (1) 후신경- 냄새를 맡는 감각신경으로 비강점막의 후각부의 섬유에서 나와 후삭을 거쳐 뇌의 시상과 측두               엽까지 연결. 

      (2) 시신경- 안구의 망막에 감각수용체를 두고 두개후면까지 연결.

      (3) 동안신경- 안구를 움직이고 눈꺼풀을 올리며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운동신경.

      (4) 활차신경- 핵은 중뇌의 동안신경핵 바로 뒤에 위치하고 신경섬유는 외안근 중상사근에 분포하여 안구의                 하방과 외측으로의 회전 담당.

      (5) 삼차신경- 감각과 운동의 혼합 신경으로 머리, 얼굴, 및 피부, 결막, 그리고 치아점막의 감각과 저작 기능                 담당.

      (6) 외전신경- 안구의 외직근에 분포하여 안구를 바깥쪽으로 움직이도록 조절.

      (7) 안면신경- 운동신경섬유는 안면 근육의 운동. 감각신경섬유는 혀의 전면 2/3의 미각을 담당. 자율신경섬                 유는 타액분비를 조절, 누선에도 작용.

      (8) 청신경- 몸의 평형을 담당하는 전정신경과 청각을 맡는 와우신경으로 구성.

      (9) 설인신경- 운동신경섬유는 인두에 분포되어 연하작용. 감각신경섬유는 혀의 1/3부분의 미각과 일반감각                  을 담당. 자율신경기능으로 타액을 분비.

      (10) 미주신경- 혼합신경으로 인두, 후두의 수의적 운동과 식도, 기관지, 심장, 위, 소장, 간, 췌장, 신장의 불                  수의적 움직임을 조절.

      (11) 부신경- 상부척수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는 흉쇄 유돌근과 승모근의 운동. 연수하부에서 나오는 신경섬유                는 미주신경과 함께 인두와 후두의 근육운동 조절.

      (12) 설하신경- 연수에서 나와서 설하관을 거쳐 혀의 근육에 분포. 혀의 운동을 지배.

     2) 척수신경

      31쌍의 척수신경은 8쌍의 경신경, 12쌍의 흉신경, 5쌍의 요신경, 5쌍의 천수신경, 1쌍의 미수신경으로 구성.

     

     3) 자율신경계

      - 불수의적 신경계라고도 부르는데, 무의식적인 반사 수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

      - 자율신경은 시상하부에서 뇌간을 통해 척수로 이어진다. 자율신경은 뇌간의 뇌신경핵중 3번, 7번, 9번, 10      번의 뇌신경, 흉부와 요부 상부에서 나오는 신경, 천부에서 나오는 3부분의 신경섬유로 구분. 흉요분지에      서 나오는 신경을 교감신경계, 뇌천수분지에서 나오는 신경을 부교감신경계라 부른다.

     

    2. 신경계 사정

     • Cerebral angiography

      뇌혈관조영술로 조영제를 뇌순환계에 주사하여 두개내 혈관 상태를 확인하는 특수 방사선검사. 두개내 동맥    류, 동정맥 기형, 뇌혈관의 폐쇄성 질환, 두개내 종양, 두개수술 시 수술전 진단에 도움을 준다.

     • Lumbar puncture

      요추천자로 요추의 거미막하강에 척수바늘을 삽입하여 진단과 치료목적으로 뇌척수액을 제거하거나 다른 물    질을 주입하는 것.

     •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술로 컴퓨터에 의한 핵 영상기법으로 신체내 장기들의 기능을 보여준다. 혈류, 조직의    구성, 뇌 대사상태도 측정 가능하고 병소의 위치, 뇌졸중 환자에서의 혈류 및 산소대사 확인, 뇌종양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의 평가에도 도움을 준다.

     • EEG

      뇌파검사로 전극을 두피에 부착하거나 미세전극을 뇌조직에 삽입하여 대뇌 피질의 전기적 활동을 그래프로    기록하는 검사. 설명할 수 없는 혼돈, 의식상실, 발작을 하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며 우울증 환자의 수면양    상 및 뇌사를 판단할 때 사용.

     • MRI

      자기공명영상으로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의 주요 구성 성분인 수소 이온과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신체 여러 부위의 영상을 얻는 방법. 조기에 두 개 내 조직의 비정상 상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 DSA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로 방사선 촬영으로 혈관을 검사하는 방법. 검사영역이 뼈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 특    히 유용함.

     • 반사검사, :DTR

      반사검사는 특정한 감각과 운동로의 통합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심부건 반사(deep tendon reflex)가 있다. 해    머를 이용해 해당되는 건에 가볍게 두드리는 자극을 가하여 반응의 정도를 보는 것. 반응의 정도를 나타내    는 척도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좌우 비대칭이 있느냐 또는 서로 다른 점이 있느냐 하는 반응을 평가하는    것.

     

    4. 안전간호(낙상방지)

     - 입원 환자 및 보호자에게 입원생활 안내 및 교육 시 낙상의 가능성을 알려주고 낙상 

       위험 사정도구, 낙상 위험요소를 사정한 후 예방적 중재를 시행.

     - 모든 환자의 침상, 화장실, 욕실 등에는 낙상 주의 표시.

     - 환자가 혼자 침상에 누워 있을 때 낙상 방지를 위해 side rail을 양쪽 모두 올린다.

     - 낙상의 위험이 있는 환자가 수면 중 깨어서 화장실에 갈 때에는 반드시 보조를 받아

       침상에서 내려오도록 한다.

     - 병원 바닥에 미끄러운 용액이나 물을 흘리지 않도록 자주 점검.

     - 통 목욕이나 샤워 시 낙상 방지를 위해 바닥에 미끄럽지 않은 매트를 깐다.

     - 휠체어나 침대로 환자를 이송 시 반드시 잠금장치를 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 stretcher cart로 환자를 이동시 side rail을 반드시 올린다.

     

    5. 혼수 환자 간호

     - 적절한 기도유지: 기도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 시 흡인간호 실시.

     - 피부 관리 유지: 피부의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체위변경 및 침요 관리.

     - 적절한 눈의 간호: 각막반사가 거의 없으므로 인공눈물 투여로 건조함 방지.

     - 구강간호: 구강 호흡을 하기 때문에 하루 3번 이상 구강간호 실시, 가습기 사용.

     - 적절한 영양 공급: 충분한 영양과 비타민 단백질 등이 풍부한 유동식 공급.

     - 배뇨관리: 유치도뇨관 관리를 잘하고 요로감염이나 배뇨장애 관찰.

     - 정상적 배변유지: 변비예방 및 설사예방

     - 운동 및 자세유지: 매 1~2시간마다 체위 변경

     - 손상위험 방지: 낙상예방 및 적절한 실내온도 유지, 잦은 환기.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