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PEG 영양 간호신규간호사 2020. 11. 3. 03:00
1. 목적 입으로 음식을 섭취할 수 없는 경우에 관을 통해 위내에 유동식을 공급하기 ㅇ ㅟ함 2. 약물 투여 2. 적응증 장기간 경장영양을 제공해야 할때 식도에 폐색이 있을 때 3. 절차 보통 내시경실에서 시행함. 내시경을 사용하여 위 배부를 보면서 복부의 피부와 피하층을 통해 위에 구멍을 내어 그 구멍을 통해 PEG 삽입 카테터는 내외에 완충기를 가지며 풍선을 부풀려 위에서 빠져나오지 않게한다. 일단 누공이 쾌유되면 새로 위치시키는 관은 내시경 없이도 삽입될수 있다. 위나 소장을 통한 장기간 PEG 피딩을 선호함. 폐 흡인 위험성이 더 적고 정신적으로 쉽게 수용하는 편 4. PEG tube 관리 및 주의사항 PEG 삽입 부위는 삽입 후 2주동안 매일 드레싱해야한다 드레싱시에 거즈에 묻어나오는 적은 양의..
-
수혈 절차 및 수혈 간호신규간호사 2020. 11. 3. 02:52
수혈 절차 1) 수혈전 1. 진단검사의학과로부터 수혈용 혈액이 도착하면 의료인 2명이 혈액출고 스티커, 혈액출고 레포트, 혈액백 라벨상의 환자 이름, 등록번호, 혈액종류, 혈액번호, 혈액형 및 혈액의 상태, 유효기관을 확인후 서명한다. 2.수혈준비를 할 때는 1회에 한 환자의 혈액에 대해 준비해야한다. 3. 환자에게 부작용 증상에 대해 설명하고 증상 발생시 즉시 알리도록 교육한다. 4. 혈액 주입 전 pre medication 을 시행한다. 5.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6. 환자 이름 등록번호 혈액형을 확인하고 수혈을 시작한다. 2) 수혈 중 1.부작용 발현 여부를 세밀하게 관찰하고 수혈 시작 15분 후 활력징후를 측정함. 2. 아나필락식 반응, 용혈성 수혈부작용, 패혈성 쇼크 등 중요한 수혈부작용..
-
중심정맥 주입 요법신규간호사 2020. 11. 3. 02:44
중심정맥관 삽입의 목적 1. 정맥 내 수액과 항암제, 항생제 등의 약물 주입 2.수혈 3.CVP 측정 4. TPN 주입 5.채혈 및 투석 2)중심정맥관의 종류 1.비터널형 중심정맥관 : subvlavican cath, jugular cath 2.터널형 중심 정맥관 :Hickman cath, Permanent HD cath 3.삽입형 포트 : 케모포트 4.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 : PICC 3)비터널형 중심정맥관 삽입 1. 의사가 삽입한다. 2. 주로 내경정맥과 쇄골하정맥을 선택한다 3.고위험 환자의 경우 혈관촬영실에서 삽입한다. 4.동의서 필요하며 손위생과 멸균을 철저히 준수한다. 4)중심정맥관 삽입 후 간호 1.삽입 후에는 반드시 X-ray 촬영을 통해 카테터 위치를 확인한다. 2. 카테터는 상대정맥과 ..
-
소아 skin test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11. 3. 02:35
소아 희석액 Normal Saline 피내 투여량 0.02 ml 관찰시간 15 분 방법 항생제 피내 투여 판정 1) 팽진 직경이 10mm 이상이고 발적이 있는 경우 양성으로 의심하며 양성판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 시행 2)피내 반응시험부위 반대쪽 대칭부위에 대조액으로 N/S 0.02mm 피내주사 3)대조액 주사 부위의 팽진 직경과 비교하여 시험약 주사 부위의 팽진 직경이 3mm 이상 커야 양성으로 판정함. 대상연령 6개월 ~ 18 개월 미만 (이하 연령은 주치의 판단)
-
투약 기본 의학용어학생간호사/간호학과 과제 2020. 11. 3. 02:28
투여 주기 투여 시간 투여 경로 Qd 1 일 1회 stat 즉시 IV 정맥 내 주사 Bid 1일 2회 P.R.N 필요할때마다 IM 근육 내 주사 Tid 1일 3회 am 아침식전 sl 설하 Qid 1일 4회 pm 아침식후 sq 피하주사 Qod 이틀에 한번 pd 점식식후 id 피내주사 q6h 6 시간마다 pe 저녁식전 ivf 점적주사정맥 Qh 매시간마다 hs 취침 전 ipd 복막투석액내로 q3day 3일마다 2p 아침 저녁 직후 it 척수강내로 qweek 주1회 3p 매 식사 직후 ihm 입으로 흡입 sup 항문 삽입 pat 환부에 부착 od 오른쪽 눈에 넣기 os 왼쪽 눈에 넣기 ou 양 쪽 눈에 넣기
-
파킨슨병 초기증상 및 산정특례기준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10. 28. 21:10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 4대 증상 떨림, 강직, 동작 느려짐 및 자세 불안정 일반적으로 특히 손에서 약간의 미묘한 떨림으로 시작함. 약 70% 환자들에게서 떨림이 나타나면 손과 다리 어느 한쪽에서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떨림은 수면 중에는 없어지며, 스트레스를 받는 기간 동안에는 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환자 스스로가 떨림에 집중을 하는 경우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무엇보다도 떨림의 원인이 파킨슨병 이외에도 다양하기 때문에 손이나 다리가 떨린다고 해서 처음부터 파킨슨병이라고 단정 하는 것은 옳지 않다. 관절을 구부리고 펼 때 뻣뻣한 저항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거의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쪽 손에서 먼저 나타나서 이후에 병이 진행하면 양측 손에 나타나는 경과를 보..
-
요실금 종류, 소변이 조금씩 샐때 비수술적요법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10. 28. 20:54
요의를 느껴 소변을 보려고 화장실 가기전에 속옷에 볼때 밤에도 소변이 마려워서 자주 일어날때 2시간을 못견디고 화장실 갈때 소변이 마려워 음료수 마시기 꺼려질때 잠자다가 이불에 소변을 볼때 과민성방광증후군 방광이 너무 예민해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방광근육이 수축 기침, 재채기, 웃을때, 큰소리 할때 소변이 샘 화장실 가는 중 빨리걸으면 소변이 샘 무거운것 을 들때 계단을 내려갈 때 운동할때 전체 요실금 80~90프로 주로 자연분만 과정에서 방광경부와 요도를 지지하는 근육에 손상이 생겨 발병, 고령 비만, 수술로 인해 생기기도 함. 소변을 보는데 시간이 오래걸림 소변줄기 약함 소변 보고 개운하지않음 소변이 시원하지 않아 자주봄 요실금 예방 및 개선 골반근육운동, 올바른 배뇨습관, 음식조절, 다이어트 , 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