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두개강 내압 상승 환자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1. 10. 15. 00:05
두개 내압 상승의 원인 두개내 압력은 뇌용적의 증가와 뇌의 혈액용적을 증가시키는 전신질환 또는 뇌척수액의 흡 수나 생성장애시 증가한다. 뇌용적의 증가 ·뇌용적은 공간점유병변이나 뇌부종에 의하여 증가됨 a. 뇌종양 b. 뇌부종 세포독성 부종(cystotoxic edema) : 뇌의 산소결핍,허혈후에 오며 주로 회백질 세포내에 부종일으킴 세포외백질 부종(extracellar white matter edema) : 가장 흔한 뇌부종의 형태, 두부손상, 수술, 뇌종 양에서 나타남. 이것은 혈액-뇌장벽 장애로 혈장단백질이 뇌조직 속으로 빠져 들어가지 못하여 일어남 간질내 부종: 갑작스런 뇌척수액 흐름의 폐쇄로 백질에서 낮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는 부종 뇌압상승이 뇌용적에 미치는 영향은 발현속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
-
인하대병원 간호사 면접학생간호사/대학병원취업 2021. 10. 14. 23:45
1차 - 실무면접 7명이 한 조로 면접 시작 수험번호 빠른 사람이 인사 하고 시작 실습지, 현재 업무부서 그리고 지원동기 및 포부 그리고 기본간호 술기 물어봄 뇌압상승시, GCS, 욕창 단계, 낙상발생시 간호지식을 물어봄 ------------------------------------------------------------------------------- 약물계산 시험을 봄 -틀린사람은 2차면접에서 다시 풀어보라고함. ------------------------------------------------------------------------------- 자기소개서 기반으로 궁금한 사항을 물어봄 경력이있으면 왜 이직하는지, 자기소개서에 신기한 이력있으면 물어봄 ------------------..
-
뇌전증 환자 생활수칙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1. 3. 16. 02:55
뇌전증 환자의 생활수칙 1. 복용하는 항경련제는 규칙적으로 복용해야 합니다. 경련 재발의 가장 큰 이유는 약 복용하지 않거나 거르는 것입니다. 복용해야 할 시간이 놓쳤다면, 바로 약을 복용해야 합니다. 식사를 걸러도, 복용약을 걸러서는 안 됩니다. 2. 규칙적인 수면을 유지해야 합니다. 불규칙한 수면이나, 수면 부족은 경련 발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술을 마시지 말아야 합니다. 술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경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심한 스트레스는 경련 발작을 유발할 수 있으니, 과도한 스트레스와 긴장을 피하고 이완하고 긴장을 풀 수 있는 규칙적인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수영이나 등산, 과격한 운동은 위험한 상황을 유발할 수 있는 활동을 피해야 하며, 이러한 활..
-
HoLEP수술신규간호사 2021. 3. 15. 05:36
HoLEP수술이란? 홀렙수술은 신개념의 홀륨레이저를 이용하여 비대된 전립선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이며, 10년전 에 처음 개발이 되었고 우리나라는 5년 전에 도입이 되어 최근일부 종합병원에서 시술되고 있는 최신 수술법이다. 전립선은 복숭아의 과육과 씨앗처럼 겉껍질과 속 알맹이의 2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겉껍질과 속 알맹이의 경계부분이 탄탄한 얇은 막으로 잘 구별이 되어 있다. 전립선 비대증은 속 알맹이가 커져서 발생이 된다. 이러한 전립선의 특이한 해부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겉껍질과 속 알맹이 사이의 탄탄한 얇은 막을 홀륨레이저로 박리하여 전립선비대증의 주범인 속 알맹이를 통째로 분리하여 제거하는 수술이다. 1. 기존의 전립선 수술에 비하여 출혈이 거의 없다. 2. 전립선 조직을 거의 제거하..
-
전립선 비대증신규간호사 2021. 3. 15. 04:47
1) 정의: 전립선 상피세포의 수가 증가와 지지조직의 비대 2) 유병률 (1) 50세 이상의 남성 (2) 80세 이상 남성의 80% 이상이 이환됨 3) Etiology (1) Unknown (2)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비율 변화 4) 병태생리 (1) 전립선 비대 → 요도 압박 → 부분적, 완전 폐색 5) S&S (1) 1기: 빈뇨?. 배뇨시간 지연, 배뇨력 감퇴 (2) 2기: 잔뇨 증가, 배뇨 후 곧 요의를 느낌 (3) 3기: 소변저류 → 방광확장증, 요관확장증, 신우확장증 6) 합병증 (1) 방호가확장증 (2) UTI (3) 수신증 (4) 급성신부전 7) 진단 (1) 직장지두검진(1차적 검진) (2) 경직장 sono, biopsy (3) 요류측정기 (4) 방광요도경검사 (생검할 때) 8) 치료/간..
-
식후 1시간 혈당, 식후 2시간 혈당신규간호사 2021. 3. 15. 04:43
진단 공복 식후 1시간 혈당 식후 2시간 혈당 혈당 정상수치 100mg/dl미만 180mg/dl미만 140mg/dl미만 내당능장애 110~125mg/dl 180~199mg/dl 140~199mg/dl 당뇨판정 126mg/dl이상 200mg/dl이상 200mg/dl이상 음식을 섭취하면 1~2시간 사이에 혈당이 최고점을 찍는데 식후 1시간 후 혈당이 높은 이유는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가 잘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혈당이 높다면 췌장에서 급하게 인슐린 분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췌장이 커져 혈당 조절이 안되고 당뇨병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식후 30분 걷기 운동은 혈당관리에 도움이 된다. 천천히 먹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식후 30분에 걷기 운동을 시작하면 위장 부담도 덜하면서 근육 수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