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외과 사전학습 보고서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3. 24. 23:06728x90
1. 신경계 구조와 기능
1) 중추 신경계
① 뇌 : 대뇌, 간뇌, 뇌간, 소뇌로 두개골 안에 들어 있다.
* 대뇌 : 좌우 2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백질과 백질로 구분되는데 회백질은 피질을 형성하고 시상핵, 시상하부, 기저신경절을 이룬다. 백질은 수질 부분으로 신경 흥분을 전달 하는 통로가 된다. 대뇌는 전두엽(수의적 운동 관장, 신체의 움직임, 인격과 지적기능 담당, 자율신경기능과 관련), 두정엽(감각을 받아들임, 물체 인식), 측두엽(청각, 미각, 후각), 후두엽(시각)으로 구분된다. 기저 신경절은 근육활동의 조절과 통합을 통해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간뇌 : 대뇌 반구가 합쳐지는 중간에 위치하고 시상과 시상하부가 있다. 시상은 후각을 제외한 감각 자극을 대뇌 피질에 전달하고, 통증이나 자극을 인지, 정서 반응을 조절한다. 시상하부는 자율신경계 하행로의 연결 지점으로 수분, 대사, 성장, 수면, 활력징후에 영향을 미친다.
* 뇌간 : 중뇌(동안신경, 활차신경), 뇌교(삼차신경, 외전신경, 안면신경, 청신경), 연수(설인신경, 미주신경, 부신경, 설하신경)로 구성되어 있고 척수로 이어진다. 중뇌는 뇌신경의 기점으로 대뇌각을 형성하고 대뇌각은 소뇌에서 척수까지의 운동신경 전달로를 형성하고 있다. 뇌교는 중뇌와 연수 사이에 위치하며 대뇌피질층으로 가는 신경섬유들의 통로가 되고 중요한 뇌신경의 핵을 포함하고 있다. 연수는 뇌의 마지막에 위치하며 운동신경섬유와 감각신경섬유의 통행로가 된다.
* 망상계 : 뇌간의 중심부를 이루며 수면과 의식을 담당하고 망상계는 뇌간, 소뇌와도 연계(망상활성계)되어 있다. 이것이 파괴되면 환자는 혼수상태에 이른다.
* 소뇌 : 대뇌각에 의해 교와 연결되며 뇌교의 후방에 위치하고 운동기능 조정, 균형, 위치 감각을 조절하며 뇌기능의 통합에도 기여한다.
② 뇌의 보호 구조 : 두개골은 전두골, 두정골, 후두골, 측두골로 구성
* 뇌막 : 대뇌 반구와 척수를 덮고 있으며 대뇌와 척수를 지지하고 보호하며 영양과 혈액 공급의 통로가 된다.
* 뇌척수액 : 외부 충격으로부터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영양소를 신경세포에 공급하며 노폐물을 제거한다.
* 뇌의 혈액공급 : 뇌의 신경조직은 심박출량의 약 15%의 혈액을 공급받고 있고, 영양물질은 저장하지 않는다.
* 뇌혈관 장벽 : 뇌의 모세혈관 내피세포로 형성된 특수한 구조로 이물질을 비롯한 여러 물질들이 중추의 신경세포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③ 척수 : 척추관 속에 위치하는 원추 모양의 신경으로 31개의 분절(8개 경수, 12개 흉수, 5개 요수, 5개 천수, 1개 미수)로 구성되어 있다. 척수의 회백질 후면은 감각을 수용하며 측면과 중앙측면은 교감신경원, 장기감각수용기, 장기운동신경원이 되고 전면은 하부운동신경원의 기점이 된다. 백질의 후방로는 촉각, 압각, 진동, 위치 감각을 전달하고 전측로는 통증과 온도감각을 시상과 대뇌피질에 전달하며 측로는 뇌로부터 척수의 전근에 운동성 자극을 전달하고 있다. 척수의 또 다른 기능은 말초 신경과 관계하여 반사 작용을 한다. 감각 신경은 감각수용체로부터 신경 충동을 직접 받아 중추로 전달하고 중추는 명령을 운동신경을 통해 효과기에 보낸다.
2) 말초 신경계 : 뇌신경, 척수신경, 자율신경
① 뇌신경 : 12쌍으로 감각, 운동, 혼합기능을 한다.
* 후신경 : 비강 점막 후각부의 섬유에서 뇌의 시상과 측두엽까지 연결된다.
* 시신경 : 안구의 망막에 감각수용체를 두고 두 개 후면까지 연결된다.
* 동안신경 : 안구를 움직이고 눈꺼풀을 올리며 동공의 크기를 조절한다.
* 활차신경 : 핵은 중뇌의 동안신경핵 바로 뒤에 위치하며 안구의 하방과 회전을 담당한다.
* 삼차신경 : 감각과 운동의 혼합 신경으로 머리, 얼굴, 피부, 결막, 점막, 저작기능 담당한다.
* 외전신경 : 안구의 외직근에 분포하여 안구를 바깥쪽으로 움직이도록 조절한다.
* 안면신경 : 주로 운동신경으로 감각신경과 자율신경의 기능도 있다.
* 청신경 : 몸의 평형을 담당하는 전정신경과 청각을 맡는 와우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 설인신경 : 운동, 감각, 자율신경 기능을 맡고 있다.
* 미주신경 : 인두 후두의 수의적 운동과 식도, 기관지, 심장, 위, 소장, 간, 췌장, 신장의 불수의적인 움직임을 조절한다.
* 부신경 : 상부 척수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는 흉쇄 유돌근과 승모근의 운동을 맡고 연수 하부에서 나오는 신경 섬유는 인두와 후두의 근육 운동을 조절한다.
* 설하신경 : 연수에서 나와서 설하관을 거쳐 혀의 근육에 분포한다.
② 척수 신경 : 8쌍 경신경, 12쌍 흉신경, 5쌍 요신경, 5쌍 천수신경, 1쌍 미수신경으로 구성
③ 자율신경계 : 불수의적 신경계로 무의식적인 반사 수순에서 이루어진다. 대뇌의 전두엽은 심맥관계, 위장운동, 호흡, 땀샘, 말초혈관 조절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떄문에 자율신경계의 고위 중추이다. 자율신경은 흉요분지에서 나오는 신경을 교감신경계라 하고 뇌천수분지에서 나오는 신경을 부교감신경계라 부른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인체 내 기능을 조절하며 평행을 이룬다.
2. 신경계 사정
*Cerebral angiography(뇌혈관조영술) : 조영제를 뇌순환계에 주사하여 두개 내 혈관 상태를 확인하는 특수 방사선 검사로 두 개내 질환, 뇌혈관 질환, 수술 전 진단에 도움을 준다.
*유발전위검사 : 신체 내 감각기관에 일정한 자극을 가했을 때 일어나는 아주 작은 전기적 반응을 측정, 분석함으로써 감각로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검사
*Electroencephalography(뇌파검사、EEG) : 두피에 전극을 붙여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
*DSA : 조영제주입전 및 주입후의 X선상을 텔레비전카메라로 촬영하여 디지털화 한 후에, 두개의 디지털메모리장치를 사용하여 감산처리 subtraction를 행하여, 뼈나 연부조직을 빼서 제거하여 조영된 혈관상만을 추출하는 방법, 이 방법에 의하면, 소량의 조영제로 콘트라스트분해능이 좋은 상을 얻을 수가 있어, 경정맥성의 조영제주입으로 선명한 동맥상을 얻을 수도 있다.
*Lumbar puncture(요추천자) : 요추의 거미막하강에 척수 바늘을 삽입하여 진단과 치료 목적으로 뇌척수액을 제거하거나 다른 물질을 주입하는 것이다.
*반사검사-DTR(심부건반사) : 해머를 이용해 해당되는 건에 가볍게 두드리는 자극을 가하여 반응의 정도를 보는 것으로 중요한 것은 반응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는 좌우 비대칭이 있는지 서로 다른 점이 있는지 반응을 평가하는 것이다.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 PET) : 양전자를 방출하는 방사성 의약품을 이용하여 인체에 대한 생리화학적, 기능적 영상을 3차원으로 얻는 핵의학 영상법
*뇌신경검사 : 동공반은, 외안근 움직임, 각막반사, 안구두정반사 검사, 안구전정 검사
*척수신경검사 : 신경전도 검사, 근전도 검사,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 단층촬영(CT)
3. Glasgow Coma Scale
- 의식 상태 및 전반적 환자 상태를 평가하는 도구로 자극에 대한 행동반응을 기록한 것이다.
- 평가 : 3~15점으로 계산되며 15점이면 alert, 7점 이하이면 comatous state, 3점이면 deep coma.
행동
점수
eye opening response
(개안반응)
spontaneous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to speech 불러서 눈을 뜬다
to pain 통증 자극에 눈을 뜬다
none 전혀 눈을 뜨지 않는다
4
3
2
1
Verbal response
(구두반응)
oriented 지남력이 있다
confused conversation 대화가 혼돈되어 있다
inappropriate word 용어사용이 잘못되었다
incomprehensible sounds 이해불명의 말을 한다
none 전혀 반응이 없다
5
4
3
2
1
motor response
(운동반응)
obey command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localize to pain 통증부위를 지적한다
withdraw to pain 통증자극을 적극적으로 피하려는 반응을 한다
abnormal flexion 이상굴곡반응
abnormal extension 이상신전반응
none 반응이 없다
6
5
4
3
2
1
4. 안전간호(낙상방지)
①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② side rail과 침대 고정 장치를 확인한다.
③ 낙상주의 표지판을 걸어둔다.
④ 병실과 화장실 바닥이 미끄러운지 확인한다.
⑤ 주변 물건에 걸려 넘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변을 정리한다.
⑥ 밤에 잠들기 전에 화장실에 다녀오도록 교육한다.
⑦ 누워 있다가 일어날 때 어지러울 경우 잠시 앉아 있다가 서도록 교육한다.
⑧ 미끄러운 슬리퍼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5. 혼수 환자 간호
1) 약물 요법 : 의식 수준의 변화를 보이는 환자를 위한 특별한 치료는 없으나 근본적인 질환을 교정하고 특별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해 의식수준 변화의 치료에 약물을 사용한다.
2) 외과적 중재 : 의식 수준을 변화시키는 원인이 공간 점유 병소라면, 병소의 외과적 제거가 환자의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다.
3) 식이 : 식이에 대한 결정을 하기 전에 환자의 연하능력을 신중하게 사정해야한다. 구역반사와 기침반의 감소, 구강 운동이 허약하거나 의식수준이 감소된 환자들은 좀더 안전한 영양 섭취와 투약을 위해 위장관 삽입을 고려한다.
4) 건강 증진과 예방 : 구조적 원인으로 인한 의식 수준의 변화를 예방하기 위한 특수한 방법은 없다. 흔히 전해질 불균형이나 비정상적인 혈당과 같은 대사성 원인은 예방 가능한 요인이다. 의식수준의 감소를 일으키는 문제를 피하도록, 문제가 발생 했을 시 즉시 확인하고 치료하기 위해 관련 내용을 많이 알아야 한다.
5) 가족 교육 : 의식 수준의 변화는 운동, 감각, 인지의 결손이 초래되므로 환자가 정상적이고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능력을 심각하게 방해한다. 교육은 환자가 병원생활을 하는 동안 계속되어야 하며 가정이나 간호요양소로 퇴원을 하는 경우 더 심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무의식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기도유지 및 호흡 능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구강에 인공 기도를 삽입하는 것이 좋고 필요시 기관 내 삽관이나 인공호흡기를 연결시키고 장기 혼수 시 기관 절개술을 실시하여 적절한 환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무의식 환자는 자가 간호 요구를 해결할 수 없고 간호 제공자에게 의존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피부상태를 유지하며 머리는 잘빗어주고 긴머리는 양쪽으로 땋아서 편안하게 해준다. 목욕, 구강간호, 눈간호, 손톱간호가 포함된다.
-무의식 환자는 기질적 원인에 의한 무의식인 경우 각막반사가 소실되어 먼지나 이물질로 인해 각막이 손상을 받아 각막염이나 궤양이 되지 않도록 눈을 적절히 보호해야한다.
-무의식 환자는 연하장애가 있으며 영양요구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어려운 문제로 비위관을 삽입하거나 위루술을 설치할 수 있다.
-무의식 환자는 일반적으로 실금이 있으며 실금은 욕창을 악화시키므로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무의식 환자는 침상안정을 하면 분변 매복의 위험이 커지므로 복부 둘레를 제거나 장음으로 복부 팽만을 사정한다.
-무의식 환자는 기동성 제한을 가졌기 때문에 의존적인 부위에 순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혈류를 지지하고 순환을 회복시키고 수동적으로 관절범위 운동을 시행한다.
-무의식 환자는 춥거나 덥다는 느낌을 표현 할 수 없으므로 안정적인 체온을 유지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6. 뇌압상승(IICP)시 증상 및 간호
1) 증상
① 의식 수준의 변화 : 신경계 손상 환자의 민감하고 중요한 지표로 뇌피질 세포와 망상 활성계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계가 손상된 결과로 혼수 시에는 통증 자극에 반응하지 못한다.
② 활력징후의 변화 : 시상, 시상하부, 뇌교, 연수의 압력 증가로 발생한다. 뇌간이 압력받으면 수축기 혈압을 증가시키며 심박동수를 낮춘다. 뇌간에 압력이 심해지면 혈관 운동 중추는 기능하지 못해 혈압은 하강하고 심박수는 증가한다. 뇌압 상승 후기 증상으로 고열이 나타난다.
③ 안구 증상 : 동안 신경이 압박되면 동공근육이 마비되어 동측의 동공은 확장되고 대광반사가 없거나 느려지고, 눈을 상측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안검하수가 나타나고 압력이 눈과 시신경 유두로 전달되어 울혈 유두가 발생한다.
④ 운동과 감각 기능 감소 : 지속적인 두개 내압 상승은 운동영역과 감각영역 사이의 신경전달로를 압박하고 심하게 운동신경로가 차단되면 환자의 자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전두엽의 운동 억제성 섬유가 차단되면 심부건 반사의 과잉 반응이 초래되고 피질 척수로의 손상은 바빈스키반사의 양성 반응을 초래한다.
⑤ 두통 : 초기 뇌압 상승의 비특이적 징후로 두개 내 혈관에 긴장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통증은 종종 지속적이지만 오전에 더 심하고 긴장과 움직임은 통증을 악화시킨다.
⑥ 구토 : 대개 오심 없이 나타내는 분출성 구토는 비특이적 증상으로 소아에게 가장 흔하다.
2) 간호
① 적절한 환기 유지 : 뇌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산소를 확보하는 것은 뇌압 조절의 첫 단계이다. 기관 내 삽관, 기관 절개술은 적절한 환기를 유지 하게 할 수 있고 동맥혈 가스 분석은 산소 치료의 방향을 결정해 준다.
② 약물 치료 : 삼투성 이뇨제, loop 이뇨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Barbiturate
③ 외과적 중재 : 종양, 농양, 혈종과 같이 원인이 명확한 경우에 외과적 중재하며 과량의 CSF를 제거하기 위해 뇌실루 형성술을 시행한다.
④ 영양 요법 : 뇌압 상승 환자들은 손상된 뇌의 대사 작용을 위한 혈당과 영양소 증가가 필요한 상태에 있게 되며 영양 부족은 지속적인 뇌부종을 야기한다.
⑤ 두개 내압 모니터 : 활력 징후를 비롯한 다른 변수들과 같이 모니터 할 수 있고 치료와 간호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평가하는 지표가 된다.
⑥ 체위 : 머리를 높이는 체위를 취해 주고 체위를 빠르게 변경하면 두개 내압을 증가 시키므로 천천히 조심스럽게 변경한다.
⑦ 환자/가족 교육 : 교육 내용은 기본적인 질병 과정과 내압 상승의 관계, 치료와 약물을 소개하고 목적을 설명한다.
-두개내압 상승환자의 간호 목표는 두 개내압을 정상 범위로 유지, 환자의 기도 유지, 수액과 전해질 균형을 정상 범위에, 부동과 의식 감소로 인한 2차적 합병증 예방이다.
7. 두개 내압 감시(IPC monitoring), EVD(extra ventricular drainage) 간호
1) 두개 내압 감시 : 활력징후와 다른 변수들을 모니터 할 수 있고 치료와 간호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평가하는 지표가 된다. 내압 상승을 모니터 하고 활동을 제한해야 하며 내압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내압 상승을 예방하고 상승 시에는 조기에 치료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흉부 내압 상승은 정맥 귀환을 방해하여 내압을 상승시킨다. 기침, 재채기, 발살바 수기를 피해야 한다.
-두개 내압 상승을 가져오는 활동 : 기침, 기도 폐쇄, 흡인, 발살바 수기, 대변,k 구토, 근긴장 활동, 등장성 운동, 스트레스, 정서적 흥분, 통증, 유해한 자극, 고탄산증, 저산소증
-두개 내압 감소를 가져오는 활동 : 흡기, 중추신경계 억제 약물
2) 뇌실 외 배액 : 배액관 관리 시 철저한 무균술을 지켜야 하고 배액관이 지시된 높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게 해야 한다. 배액관이 꼬이거나 꺽이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매일 1회 시술부위를 소독하고 거즈를 교환한다. 배액되는 뇌 척수액의 양과 색, 혼탁 정도를 규칙적으로 사정하고 기록한다.
8. 뇌졸중 환자 간호(편마비 환자 간호)
1) 일과성 허혈증의 관리 : 뇌졸중으로 진행 되는 것을 막는 것이 치료 목표로 항고혈압제나 혈소판 응집 억제제를 사용한다. 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자주 사정하고 환자에게 스트레스에 대해 정서적 지지와 교육, 다가올 상황에 대한 전체적이고 간단한 설명이 필요하다.
2) 출혈성 뇌졸중의 관리 : 치료 목표는 생명을 보존하고 재출혈을 예방하는 것으로 재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절대 안정을 취해야 하며 조용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하며 호흡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저산소성 뇌 조직 장애 또는 뇌부종을 예방한다.
3) 급성기 관리
* 호흡기계 관리 :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면서 산소를 공급히고 혈압을 적절히 유지한다.
* 신경계 관리 : 뇌졸중의 손상 정도, 두개내압 상승, 뇌혈관 경련 등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고 신경학적 사정은 의식상태, 동공반응, 사지움직임과 근력 등으로 평가한다.
* 심혈관계 관리 : 수분정체, 탈수, 혈압의 변동으로 심장 기능의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뇌졸중의 스트레스로 항이뇨 호르몬, 알도스테론이 높아져 소변량이 감소되었을 때는 수분을 제한해야 한다.
* 피부 관리 : 실금, 감각 상실, 혈액 순환 장애, 부동, 영양 부족, 탈수, 부종 등으로 피부 손상 위험성이 높아진다. 간호로는 체위 변경, 특수 침대 사용, 압박 부위 완화를 위한 쿠션을 이용한다.
* 소화기계 관리 : 뇌졸중 환자는 음식과 수분을 구강으로 섭취할 때 흡인, 구토, 질식이 생길 위험이 있으므로 첫 24~48시간은 금식하고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위해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하고 48시간 이후에도 음식 섭취가 어려우면 위관영양이나 정맥 요법을 수행한다.
* 요로계 관리 : 의식 수준의 변화, 신경 손상, 배뇨 욕구의 표현 능력 상실로 요실금이 올 수 있다. 필요시 간헐적 도뇨를 사용하고 방광 재훈련 프로그램은 적절한 수분 공급, 2시간 마다 변기나 이동 변기를 이용해서 소변을 보도록 하는 것이다.
* 의사소통 : 뇌졸중 대상자가 의식이 돌아온 후 불안을 느낄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잘 듣고 주의 깊게 살펴 보아야 한다.
* 감각 인지적 관리 : 뇌졸중 환자가 시야에 있는 물건을 계속적으로 보지 못할 시는 동측 반맹을 의심할 수 있다.
- 시간마다 신경학적 상태와 두개내압 상승 정도를 평가하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침대의 머리를 30도 높이고 머리와 목은 가운데 놓고 중립 자세를 유지한다.
- 산소를 제공하고 뇌조직의관류를 위해서 기도 유지는 필수적이다.
- 심장상태를 사정하고 직장 체온계나 관장은 금한다.
- 항혈전제를 투여하고 심부정맥혈전, 호흡기계 혈전 및 허혈이 있는지 감시한다.
- 전해질을 측정한다.
9. 척수 손상 환자 간호
1) 응급 처치 : 척추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환자를 반듯이 눕혀 고정시키고 이송해야 손상의 진행이나 악화를 막을 수 있다. 호흡 부전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두부 손상이 있는 경우 두개내압 상승을 유의하여 관찰한다. 경추를 바르게 하고 기도를 유지하며 비강이나 마스크를 통해서 산소를 공급한다. 심한 경추 손상시 호흡 피로가 심해지기 전에 삽관하는 것이 좋으며 골절과 탈구를 감소시키기 위해 즉시 골격 견인을 해야한다. 척추 쇼크일 경우 하지를 들어 올리고 하지에 탄력 스타킹을 신기고 혈관 수축제를 정맥 주사 한다. 활력징후, 의식 상태, 산소포화, 심장리듬, 소변배설량, 뇨정체, 고혈압을 모니터하고 환자를 따뜻하게 해준다.
2) 견인 및 체위 정복술
① 경추 손상 : Crutchfield tongs 견인, halter 견인, Halo vest, Philadelphia 칼라
② 흉추와 요추 손상 : 흉추 골절, 탈구는 정복하기가 어려울 때가 많은데 골절 부위 밑에 베게를 받쳐 과신전시키며 골절이 심하고 불안정하면 수술적 감압술과 여러 기구를 이용하여 고정술을 한다.
3) 약물 요법
4) 외과적 관리 : 압박의 완화, 정확한 정렬과 환자가 움직일 수 있도록 척수의 안정성을 증진하고 재활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척수손상환자의 간호 목표는 신경학적 기능의 최대 수준을 유지하는 것,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이 최소이거하거나 전혀 없는 것, 자가 간호를 하기 위해서 새로운 기술, 지식, 행동을 배우고 습득하고 다른 사람에게 배운 것을 성공적으로 지도하는 것, 최대 수준의 기능으로 집이나 사회로 돌아가는 것이다.
10. 두 개 수술 전•후 간호(두부 수술)
1) 수술 전 간호
① 합병증의 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상태를 최적의 수준에 이르게 한다.
② 환자가 의식이 있으면 수술 전에 심호흡 방법을 훈련시킨다.
③ 머리 삭모 범위는 절개 부위와 환자의 의견을 고려하고 보통 수술 전날 두피간호 후 삭모하고 필요한 경우 면도 등 피부 간호를 실시한다.
④ 환자가 충분히 이완되도록 배려한다.
⑤ 수술 후 경련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전 항경련제가 처방되며 뇌부종 감소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투여한다.
⑥ 수술실로 가기 전 유치도뇨관을 삽입하며 중심정맥압 측정을 위해 중심정맥관을 삽입한다.
⑦ 항생제와 진정제를 투여한다.
2) 수술 후 간호
① 뇌부종 감소를 위해 고삼투성 제제를 주입하고 스테로이드제는 24~72시간 동안 6시간마다 정맥 내로 투여하고, 체온이 37.5 이상이면 해열제를 투여한다.
② 측위로 눕는 경우 둔부를 굴절시키면 복압이 상승되고 결국은 두개내압이 상승되므로 중립적인 선열로 머리와 목을 유지한다.
③ 후두개와 수술 후에는 수술 부위의 압박과 긴장을 예방하기 위해 측위로 눕힌다.
④ 뇌실외 배액관 또는 다른 종류의 배액관은 후두개와 종양 수술 환자에게 삽입된다.
⑤ 적절한 호흡과 기도를 유지하고 기도 분비물을 제거한다.
⑥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해야 하며 합병증 발생 징후가 있을 경우 즉시 보고하고 적절한 응급 조치를 실시한다.
⑦ 개두술 후 환자는 기침, 복압 상승 행위, 통증, 체온 상승 등과 같은 두개내압을 높이는 요인을 피해야 한다.
⑧ 신경학적 결손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다른 잠재적인 결손은 사정한다.
⑨ 기관절개술을 받은 환자는 말을 하지 못하므로 대체된 의사소통방법을 선택해야한다.
12. 신경계 장애 대상자의 약물
1)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① 교감신경에 작용하는 약
* 아드레날린성 효능제
- 말초혈관 수축작용, 심장에의 작용 및 혈압 조절, 기관지 평활근 이완
* 항아드레날린성 작용제
- 알파 수용체 차단제, 베타 수용체 차단제
② 부교감신경에 작용하는 약 : 콜린성 효능제, 항콜린성 효능제
③ 근이완제•국소마취제
2)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①전신마취제, 흡입마취제, 정맥 내 마취제
②수면제(벤조디아제핀계, 바르비투르산 유도체), 항불안제(벤조디아제핀계)
③항정신병약, 항우울제, 파킨슨 증후군 치료제, 항간질약
④마약성 진통제
- opium alkaloids, 합성 마약, 비마약성 합성 진통제, 마약 길항제성 호흡 촉진제
✻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제12판 약리학. 정문각. 김진학설근희•유양경•이윤미•추상희. 서울:2013
일곱째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금순•최경옥•현경선•윤은자•김숙영 외. 경기도파주:2014
'학생간호사 > 간호케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성 당뇨병 (0) 2020.03.24 소화기내과 사전학습 보고서 (0) 2020.03.24 신장내과 사전학습 (0) 2020.03.24 아동 낙상 환자교육 보고서 (0) 2020.03.24 외과병동 사전학습보고서 (0)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