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요추압박골절 골다공증
    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10. 17. 02:55
    728x90

    요추압박골절 골다공증

       

     1. 정의 (Definition)

    척추는 우리 몸을 지탱해주고 척수신경이 지나가는 중요한 골격계이며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미추로 구성되어 있고 요추는 척추를 이루는 등골뼈 중의 하나를 의미하며 일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위 가운데 하나이다. 요추 압박골절이란 척추 앞쪽이 눌려 찌부러짐으로 인해 압박되어 척추가 납작하게 골절된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 하중이 추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후방요소에 손상이 없는 안정 골절이다. 척추골절의 70% 이상이 흉추12번과 요추2번 사이에서 발생한다. 1번 요추압박골절 골다공증이란 5개의 요추중 첫 번째 요추에 압박골절이 발생했다는 의미이다. 노인성 요통의 대표적인 원인 질환이다.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원인

    사고와 같이 강한 충격을 받아 넘어지거나 부러지는 경우에 요추압박골절이 발생하며 충격으로 인해 납작해진 것을 말한다. 교통사고나 추락같이 격렬하고 심한 외상으로 발생하나, 척추암, 골다공증,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같은 병으로 인해 이미 뼈가 약해져 있는 경우에는 가벼운 외상으로도 발생한다. 요추압박골절이 발생하면 일상생활에 있어 큰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병태생리

    ① 일생 동안 정상 뼈는 새로운 뼈가 만들어지는 골 생성(Osteoblast)과정과 오래된 뼈가 흡수되는 골 파괴(Osteoclast)과정을 거침. 이와 같은 골 재형성 과정(bone remodeling)은 30~35세에 절정.

    ② 30~35세 이후부터 골흡수(bone resorption)가 골형성보다 활발해지기 때문에 골밀도 감소.

    ③ 골소주(trabecular bone)나 해면골조직(cancellous bone)에서 골밀도가 가장 먼저 감소하고, 그다음엔 피질골의 밀도가 감소.

    ④ 갱년기 여성은 혈청 estrogen이 감소함에 따라 골밀도가 급속히 감소.

    ⑤ 남성은 갑작스러운 호르몬의 변화가 없고, 뼈의 양이 절정에 이른 시기가 더 길어 골 발생률이 여성보다 낮다.

     

      3. 증상

    골절이라고 해서 뼈가 부러지거나 금이 간 상태가 아니라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맞물려 있어야 할 요추 뼈가 납작하게 내려앉은 증상을 말한다. 잘 움직이지도 못할 정도로 등과 허리에 통증이 있고 돌아눕거나 자리에서 일어날 시에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허리가 점점 약해지면서 나중에는 몸이 점점 앞으로 굽게 되고, 가슴이나 아랫배와 엉덩이까지도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초기증상: 허약, 불안정한 걸음걸이, 경직, 식욕부진, 흉곽의 하부나 요추부 통증

    흔히 골절되는 부위: 대퇴 경부 골절, 요골 원위부 골절, 상박골 골절

    · 심하면 병리적 골절, 경미한 외상으로도 쉽게 골절

    · 골절 부위에 심한 국소 통증

    · 골절이 심하면 척수 신경을 눌러서 대소변 장애, 엉덩이와 다리의 감각 소실, 다리 근육의 약화 내지는 마비가 생길 수 있음

    ‧ 척추의 다발성 골절로 키가 작아짐

    · 흉곽 크기가 감소하여 폐 기능부전이 생김

    · 척추압박 골절로 인한 요통

    · 구강위생상태가 좋지 않으면 턱 뼈의 골 질량의 손실로 치아가 손실됨

    · 통증, 불면증, 우울, 낙상 공포증, 기형에 의해 자존감 저하

    · 증상을 방치할 경우 만성요통으로 통증은 점차 악화되어 가며, 척추 후만증 증상으로 발전할 가능성

    · 심장이나 폐 등의 주요 장기 기능까지 저하되어 수명을 단축시킬 가능성도 있어 매우 위험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1) 임상검사 

    · 원발성 골다공증을 확진하는 검사는 없지만 2차성 골다공증, 대사성 골연화증, paget 병을 진단하기 위해 생화학적 검사와 요중 칼슘, 혈청 칼슘 치, 비타민 D, 혈중 인 검사 등을 함 

    · 갑상샘 기능항진증을 감별 진단하기 위해 혈청 단백질과 갑상샘 기능을 사정함

    · 뼈나 인대에 있는 콜라겐 물질 pyridinium의 농도를 측정하는 Upyr(urinary pyridinium crosslink assay)가 이용되는데 소변으로 이것의 배설이 증가하면 골 소실이 증가된다는 것으로 골 소실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음

    (2) 방사선 검사

    · 척추와 긴뼈의 방사선 검사를 통해 골밀도의 소실과 골절 상태를 알 수 있음

    · 골밀도의 25~40%가 소실된 후에야 방사선 검사에서 확인됨

    · 뼈의 변화를 빨리 감지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촬영(CT)를 이용하는데 CT는 피질성 뼈보다 해면조직으로 된 뼈를 진단하는데 더 유용함

    · 척추와 골반 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진단기구로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검사기(DEXA)를 사용

    · 이 외 자기 공명 영상 검사(MRI), 초음파 검사 등이 있음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1) 약물치료

    ① 에스트로겐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고 골 흡수를 저하, 골세포 파괴를 자극하는 물질인 cytokinine을 억제하여 골 흡수를 차단한다. 

    ② 비타민D

    소장에 적절한 칼슘을 흡수하기 위해 충분한 비타민 D가 필요하다.

    ③ BPS

    골다공증, paget병, 암과 관련된 과칼슘혈증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된다.

    ④ Calcitonin

    골 파괴를 억제하는 갑상샘 호르몬이며, 척추골절에 진통효과가 있어 조기 회복을 촉진한다.

     

    (2) 식이요법

    영양 성분

    골다공증 시 권장량

    권장 식품

    칼슘

    1일 1,500mg 이상

    · 연어, 멸치, 고기, 굴

    비타민D

    · 햇빛에 자주 노출 할 경우 보통 수준섭취, 집에만 있는 경우 섭취량 증가

    · 강화우유(노인의 경우 치즈류나 녹색채소) , 곡류, 달걀, 버터, 생선 등

    · 섭취감소시킴

    · 쇠고기, 닭고기류, 생선

    단백질

    · 적당량

    · 육류, 닭고기, 생선, 달걀, 치즈, 곡류, 콩, 견과류

     

     

     

    (3) 낙상예방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낙상이나 과격한 활동 조심한다.

     

    (4) 통증관리

    척추 골절에 따른 통증은 손상 후 6~8주 동안 약물치료와 함께 자세교정 기구를 이용하고, 급성통증에는 진통제를 사용한다. NSAIDs는 통증완화와 척수 신경근의 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투여한다.

    (5) 수술은 신경마비가 오거나 척추체의 불안정성으로 정상적인 몸통의 유지가 어렵거나, 심한 통증이나 관절염 등의 척추 협착증세가 있을 때 척추 고정술을 시행한다. 하반신 마비나 편마비 또는 신경근의 손상이 있을 때 수술적 정복 및 내고정술을 시행한다.

        

       6. 예후

    나이가 들어 골다공증이 생기면 흔하게 발생하는 골다공증성 압박골절은 응급실에서 가장 흔한 척추 골절이고, 약 20%에서는 무증상 성으로 발생하여 다른 이유로 방사선 사진촬영을 하고 발견된다.

    압박골절은 설상(wedge shape), 요추에서는 양면오목 종판골절(biconcave end plate fracture), 균등압박(uniform compression) 세가지 형태를 보인다.

    설상압박골절 양면오목 종판골절 후방까지 균등압박골절

    척추체 후방까지 균등압박골절 된 경우는 통증이 심하고, 불안정성이 심하고, 방출성 골절로 척수(spinal cord)를 압박할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ct, mri를 촬영해야 하고, 치료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