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실습
-
자궁절제술 간호과정 두번째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3. 24. 22:17
일반혈액검사 검사명 9/21 9/26 정상수치 목적 임상적 의의 RBC 4.35 2.90 [4.2-6.3]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도나 지방대사의 평가, 신증후군, 췌장, 간질환, 갑상선 질환의 보조진단적 검사 △담관폐쇄성 질환, 동맥경화증 ▽간질환, 갑상선기능 항진증, 결핵, 고열 혈색소 14.3 9.0 [11.5-16.0] 빈혈의 정도, 혈액소실, 혈액 소실과 관련된 경과 관찰 △COPD 다혈구혈증 울혈성 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갑상선기능항진증 hematocrit 39.8 27.2 [36.6-47.0] 총혈량중 적혈구가 차지하는 용적비(%) △적혈구 증가증, 혈구혈증 탈수 ▽빈혈 백혈병 갑상선기능항진증 MCV 91 94 [80.0-100] 빈혈 원인별 분류 △악성빈혈, Sprue, 영양실조..
-
자궁절제술 케이스 (hysterectomy) 문헌고찰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2020. 3. 23. 01:04
자궁절제술 자궁 절제술은 자궁의 경부와 체부를 제거 하는 것이다. 현재 여성에서 시행되는 수술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수술 중의 하나가 자궁절제술이다. 적응중은 자궁근종, 악성종양, 자궁선근증, 약물로 치료되지 않는 만성 골반염, 심한 자궁 출혈, 자궁탈수 등 여성의 건강이나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시에 나타난다. 자궁절제술의 종류 부분자궁절제술 체부만 절제하고 경부는 남겨둔다. 월경이 없고 임신이 안되며 에스트로겐 분비가 되지 않는다. 전자궁절제술 자궁체부와 경부 모두를 절제한다. 월경이 없고 임신이 안되며 에스트로겐 분비가 되지 않는다. 전자궁절제술과 한쪽 난관난소절제술 자궁과 함께 한쪽 난관, 난소를 절제 한다. 월경 없고 임신 안되며 에스트로겐 분비가 되지 않는다. 전자궁절제술과 양쪽 난소 절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