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호흡기계 정리신규간호사 2020. 10. 16. 02:26728x90
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구조>
- 상부호흡기계
(1)코와 부비동
코는 뼈와 연골로 이루어져 있다. 콧구멍은 빈 공간이고 전정이라 하며 피부와 털로 덮여있다. 부비동은 두개골 내 빈 공간으로 위치에 따라 전두동, 사골동, 접형동, 상악동이라 한다. 부비동 분비물은 비강으로 흐르며 코눈물관의 눈물도 비강으로 분비된다.
(2)인두
인두는 코에서 후두에 이르는 부분으로 비인두, 구강인두, 후인두로 구분한다. 비인두는 연구개 경계부위 윗부분으로 비강에서 오는 공기를 받아들인다. 구강인두는 호흡과 소화에 관여하며 구개편도와 설편도가 있다. 후인두는 혀 기저부에 있으며 후두에 연결되어 있고 호흡과 소화에 관여한다.
(3)후두
후두는 발성기관으로 위는 인두, 아래는 기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앞에는 식도가 위치한다. 근육으로 구성되어 삼키기, 말하기, 호흡을 도우며 목소리 높이를 조절한다.
- 하부호흡기계
(1)기관, 기관지 및 세기관지
기관은 16~20개의 기관연골고리로 이루어져 있어 가슴안(흉곽내) 압력이 음압일 때 기도가 허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오른 주기관지와 왼 주기관지는 각가 3개의 엽기관지와 2개의 엽기관지로 분지한다. 호흡세기관지는 호흡종말세기관지와 허파꽈리관, 허파꽈리주머니 및 허파꽈리로 구성된다.
(2)허파
허파는 빗장뼈(쇄골) 바로 위에 허파끝 부분인 허파 꼭데기가 위치하고 가로막 쪽 넓은 면에 허파바닥이 위치하며 신경과 폐혈관 및 기관지는 폐문을 통과한다.
(3)가슴우리(흉곽)
가슴우리는 좌우 12개의 갈비뼈, 복장뼈, 어깨뼈 및 등골뼈로 구성되고 그 안에 허파와 심장, 큰혈관, 림프절, 가슴샘 및 식도가 위치한다.
(3)폐순응도(폐탄성), 탄성 반동, 기도 저항
허파가 확장되고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특성을 가진 것은 폐순응도와 탄력성 때문이다.
폐순응도는 압력을 가했을 때 허파가 팽창되는 정도를 말하며 팽창이 잘되면 폐순응도가 높은 것이다. 탄성반동은 확장된 허파를 팽창되기 이전으로 되돌리는 압력으로 허파꽈리벽과 세기관지와 모세혈관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이 탄력섬유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작용하는 압력이다. 기도 저항은 흡기 동안 기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 호흡중에 이겨내야 하는 힘이며 기도의 저항이 클수록 호흡은 힘들어진다.
(4)가스운반
산소는 두 가지 방법으로 조직으로 운반되는데 약 98.5%의 산소는 산소혈색소가 운반하고 나머지 1.5% 정도는 혈장에 용해된 상태로 운반된다.
(5)산염기 균형
허파에서는 H+의 균형을 유지한다. 호흡질환이나 장애가 생기면 호흡성 산증 또는 호흡성 알카리증이 발생하고 H+ 불균형이 발생한다.
2)호흡 조절
(1)신경성 조절
숨뇌호흡중추에서 나오는 날신경은 가로막의 운동을 지배하는 가로막신경과 갈비뼈사이근의 가로막의 운동을 지배하는 가로막신경과 갈비뼈사이근의 운동을 지배하는 가슴신경들이다.
(2)중추화학수용체
숨뇌에 있으며 뇌척수액의 수소 이온의 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3)말초화학수용체
대동맥토리와 목동맥토리에 있는 말초화학수용체는 동맥혈액의 산소분압이 감소될 때 반응하여 호흡중추를 자극한다.
<기능>
1)호흡생리
(1)환기와 관류
환기는 기도를 따라 폐로 드나드는 공기의 흐름이며 산소의 분압이 높은 신선한 공기는 폐로 들어가고 세포 대사 결과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은 공기가 체외로 나가는 과정이다.
(2)기체교환: 확산
허파꽈리에서의 가스교환은 가스의 분압 차에 의해 확산이 일어나기 때문이고, 가스분자는 분압이 높은 곳으로부터 낮은 곳으로 확산한다.
2. 호흡음의 청진
종류
생리
청진
호흡음
가능한 질환
거품소리
(수포음, crackle)
작은 기도에서 공기가 액체를 통과. 허탈되고 약해진 기도가 갑자기 열릴때
들숨 때 좀 더 잘들림
가늘고 높은 또는 거친 저음의 짧고 비연속적인 거품소리
폐렴, 울혈심장기능상실, 폐확장부전, 폐공기증
삑삑거림
(건성수포음, rhonchi)
액체로 큰 기도가 폐쇄 되었을 때
날숨 때 잘 들림
저음, 지속적인 코골은(드렁드렁)소리
만성폐쇄폐질환, 기관지 연축, 폐렴
쌕쌕거림
(천명, wheewes)
작아진 기도를 통과할 때
들숨과 날숨 모두에서 들림
고음, 휘파람 소리
천식-기도폐쇄.
만성폐쇄폐질환
가슴막마찰음
(흉막마찰음, pleural friction rub)
가슴막염에서 가슴막이 마찰
모든 호흠 주기에서 들림: 호기말에 허파 바닥면에서 가장 잘 들림
긁는 소리, 삐걱거리는 소리, 비비는 소리, 바드득거리는 소리
가슴막염. 폐경색
3. 산소투여 방법
4. 기관삽입술 환자 간호, 기관 흡인시 간호
‣ 기관내관
• 삽입경로 - 구강
• 장점 - 조직손상 없이 빠른 삽입, 응급상황
•단점 - 구개반사 유발, 타액분비 증가, 고정 어려움, 장기간 사용 불가(의사소통, 구강 섭취 불가 능)
• 간호중재 - 구강간호 자주 실시, 커프 압력 감시(20mmhg 내외로 유지)
‣ 기관흡인
• 종류 - 구강 및 비강 흡인, 기관 흡인
• 간호중재 - 흡인력 작동 안한 상태에서 삽입(점막손상 예방), 10초 이내 흡인(저산소혈증 예방), 시간을 정하지 않고 필요 시 시행, 흡인 전후로 100% 산소 공급(흡인 동안 저산소증 예방), 생리식염수 점적(분비 물을 묽고 연한 상태로 만들어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카테터를 윤활 시키며 기침자극을 향상시킴)
5. 기관절개 환자 간호
(1) 절개 부위 간호
-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습하거나 분비물이 있는 지 확인 후 필요하면 드레싱을 교환하거나 피부간호를 한다. 피부간호를 하기 전 호흡음을 청진하여 분비물이 있으면 먼저 흡인한 후 드레싱을 제거한다, 과산화수소를 적신 면봉을 이용하여 외관의 안면 밑을 깨끗이 한다, 고정 끈도 교환한다.
(2) 흡인간호
- 흡인은 분비물이 있을 때만 시행한다. ① 큰 기도에 서 나는 거친 악설음이나 천명음, ② 가래가 잇는 기침, ③ 기계환기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흡기압 증가, ④ SpO2나 PaO2가 감소하며 불안정해지는 경우 시행한다. 흡인은 필요시에만 시행하고 기침할 수 있는 경우 시행하지 않는다.
(3) 커프가 있는 기관절개관 관리
- 커프가 팽창되어 있으면 기관 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기도를 막을 정도의 최소한의 양으로 팽창시켜야 한다. 커프 팽창 압력이 20mmHg 혹은 25cmH2O를 초과하면 기관이 동맥을 압박하여 괴소될 수 있다.
(4) 기관절개관이 빠졌을 때의 간호
- 기관절개술을 할 때 기관연골에 유치봉합을 한 후 빠졌을 때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실 끝을 테이프로 붙여 놓는다. 절개관이 빠지지 않도록 절개 상처가 낫기 전까지 ① 같은 크기나 혹은 작은 크기의 절개관을 침상에 준비하여 응급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② 절개관은 삽입 후 2시간동안은 교환하지 않고 7일 이후에 의사가 절개관을 처음 교환한다. 기관절개관이 빠졌을 때는 즉각 교체하여야 한다. 유치봉합이 되어 있으면 실을 잡아당기거나 혹은 지혈겸자를 사용하여 구멍을 넓힌다. 할 튜브에 넣어 식염수에 적셔 45° 각도로 삽입한다. 제대로 삽입되면 전색자를 제거한다.
(5) 기관절개관 제거와 간호
- 적절하게 환기하고 분비물을 배출할 수 있으면 절개관을 제거한다.
(6) 연하장애 간호
- 기도를 보호할 능력이 없어 흡인 위험이 있으면 음식물을 먹을 때도 커프는 수축하지 않는다. 커프를 수축시키거나 커프없는 절개관으로 교환한다.
(7) 언어장애 간호
- 환자가 의식이 있으면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에 호출벨을 배치하고 눌렀을 때 즉각 반응하여 불안하지 않게 한다.
(8) 영양장애 간호
- 환자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구강 섭취량과 섭취열랑, 체중 등을 지속적으로 평가한다. 영양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고열량, 고단백 음식과 수액을 공급한다.
Chest X-ray
-호흡계 질환의 선별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이며 그 외 심질환이나 가슴세로칸(종격동) 이상, 종양 등을 발견해 낼 수 있다.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방사선실이나 침상에서 촬영하기도 하고, 서거나 앉은 체위 또는 누운 상태에서 촬영하기도 한다. 적절한 자세를 취하게 한 후 숨을 깊게 들이마시게 한 다음, 사진을 찍을 동안 잠시 숨을 참도록 한다. 정확한 영상 촬영을 위해 조사부위에는 이물이나 금속제품 착용과 부착을 금한다.
ABGA
동맥혈의 산화상태와 산-염기 균형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동맥혈에서 산소분압, 이산화탄소 분압, pH, HCO3-,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검체는 노동맥이나 넙다리동맥에서 채혈하며 응고되지 않도록 헤파린을 통과시킨 주사기로 2~2.5ml를 채혈한다.
PET
(!)1회 호흡량
호흡 1회에 들이쉬거나 내쉬는 공기의 양, 정상치는 500ml인데 150ml는 가스교환에 참여하지 못하는 해부학적 호흡사강이다.
(2)들숨예비량(예비흡기량)
정상적인 들숨 후 더 들여 마실 수 있는 공기의 양이며 약 3,000ml이다.
(3)날숨예비량(호기예비량)
정상적인 날숨 후 더 호기해 낼 수 있는 공기의 양이며 약 1,000ml이다.
(4)남은 공기량(잔기량)
최대 호기가 끝난 후 허파 안에 남아 있는 공기이며 1,500ml 정도 이다.
(5)들숨용적(흡기용적)
보통의 호기가 끝난 후 최대로 들여 마실 수 있는 공기량이며 정상 성인의 경우 3,500ml이다.
(6)기능잔기용량
정상호기 후 폐 내에 남아있는 공기의 양을 말한다. 기능잔기용량은 날숨예비량에 남은 공기량을 더한 것과 같다. 정상 성인의 경우 2,500ml이다.
(7)폐활량
힘껏 들이쉰 후에 힘껏 내쉰 공기의 최대량이다. 폐질환을 진단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하므로 폐기능 검사의 가장 중요한 기본 요소이다.
(8)온허파용량(총폐용량)
폐가 보유할 수 있는 최대 공기량이다. 기능적 남은 공기량에 들숨용적을 더하거나 폐활량과 남은공기량을 더한 것이며 정상 성인의 경우 6,000ml이다.
(9)분당 호흡량
1분 동안 허파로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총량이며, 안정 시 1회 호흡량에 1분간 호흡수를 곱한 것이다.
(10)노력날숨폐활량(강제호기량)
1초,2초,3초 간격으로 측정하여 초당 노력날숨폐활량이라고도 한다. 1초 시점에서는 83%, 2초에는 93%, 3초에는 97%를 호기한다.
(11)강제 날숨유량
강제 폐활량을 내쉴 때, 호기 시작 시점으로부터 1,000ml의 유속을 측정하는 것으로 큰 기도의 공기 흐름을 평가하는 데 이용된다.
(12)강제 중간날숨유량
강제 폐활량의 초기와 말기 25%를 제외한 중간 50% 시점에서의 환기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상인의 평균측정치는 분당 282L이며 세기관지 질환의 조기지표이다.
(13)최고날숨유속(최고호기유속)
강제로 호기할 때의 최고 유속을 말한다. 정상수준은 분량 600L 이상이다.
(14)최대 환기량
최대호흡용량이라고도 하며 공기의 gmma, 근육의 강도, 가슴과 허파 신장성, 기도 저항을 검사하는 것이다.
객담검사
-가래검사의 검체는 기침으로 배출한 가래 또는 시관지 흡인과 기관내시경을 통하여 수집한다. 가래 배양 및 항생제 민감도 검사는 감염원을 확인하고 항생제를 선택하며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다.
흉곽천자
-가슴벽을 통해 가슴막 안에 바늘을 삽입하여 가슴막 삼출액을 제거하거나 생화학적, 세균학적 또는 세포 검사를 목적으로 시행하고 가슴막 안에 약물을 투여하거나 가슴막 생검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시행한다.
(1)시술 전 간호
-환자에게 검사의 목적과 방법, 절차를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는다. 검사 중에 환자가 움직이면 주사바늘로 인해 간이나 허파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검사 중에 움직이지 않도록 설명한다.
(2)시술 중 간호
-무균적으로 피부소독을 하고 국소마취를 한 후 주사기를 삽입한다.
(3) 시술 후 간호
-바늘을 뺀 자리는 압박드레싱을 한다. 검체는 검사실로 보내고 삼출물의 양과 특성 및 검사 후 환자 상태를 기록한다.
결핵 검사
-투베르쿨린 검사는 결핵 감열을 확인하는 검사
항원인 PPD 튜베르쿨린 0.1ml를 피내에 주사하고 48~72시간 후에 피부 반응을 평가한다.
기관지경 검사
-기도에 내시경을 삽입하여 기관지를 직접 보는 시술이며, 조직 생검과 기관이나 기관지폐포 세척으로 얻은 검체의 세포검사와 기관이나 기관지폐포 세척으로 얻은 검체의 세포검사와 세균검사를 시행하고도 기도 내 이물질과 점액 마개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6. 진단검사와 간호
7. 흉곽수술 환자 간호, 흉관 배액환자 간호
-bottle은 항상 환자의 흉곽보다 70-90cm 아래에 등
-환자의 자세:환자의 자세 :seemi-fowler's powtion
-흉곽튜브 삽입 후 폐쇄드레싱
-배액량, 색깔 농도, 냄새 등을 관찰하여 기록
-심호흡을 기침, 흉곽배액관 쪽 어깨운동 격려
-환자 곁에 kelly를 비치하여 환자 이동시에 이용
8. 인공호흡기 적용환자 간호(적응증, 종류, 합병증, 제거 기준 등)
(1)적응중
임상적 평가와 동맥혈 가스 분석에 의한 평가를 한 후 기계환기를 적용하게 된다.
(2)종류
①코삽입관: 2개의 콧구멍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는 기구이다. 착용한 다음 침대에서 움직일 수 있고, 식사와 대화, 기침 등의 활동이 가능하다. 투여할 수 있는 산소량은 분당 1~6L이다.
②안면마스크: 마스크 내에 공기 저장소가 있어 코삽입관보다 흡인산소 저장공간이 확보되는 기구이다. 마스크가 얼굴에 꼭 끼어서 불편하고 식사나 수분섭취 시는 코삽입관으로 변경한다.
③재호흡방지형 저장백 마스크: 60% 이상의 산소흡입농도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저장백이 있어 6L 이상의 산소를 공급하며 10L의 산소를 공급할 때 흡입산소농도는 100%가 된다. 저장백을 부풀리고 나서 환자에게 씌운다.
④T자 연결관: 기관내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한 환자에게 흡입산소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연결 장치이다. 10L의 산소를 공급할 때 흡입산소농도는 100%가 된다.
⑤V두셔갸 마스크: 흡입산소농도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서 만성 폐쇄폐질환 환자에게 주로 사용한다.
(3)간호
·인공호흡기 환기양식이 처방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4)합병증
①압력으로 인한 폐손상
②용량-압력으로 인한 폐손상
③폐포 저환기
④폐포 과환기
⑤기계환기의 기능 이상
9. MRSA, VRE 관리
·환자 상태에 맞게 경보 설정 수치가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하고 경보음이 울리면 원인을 즉시 해결한다.
·환자 써킷(호스)에 고인 물을 자주 제거한다.
·환자의 호흡상태를 관찰한다.
·인공기도의 cuff의 압력을 적절히 유지한다.
·기도에 객담, 이물질 등이 생겼을 경우 무균법을 이용해 흡인한다.
·기도내관 또는 기도절개관 주위는 항상 청결히 하고 필요에 따라 테이프로 고정을 시킨다.
·흉부 물리요법, ROM운동을 계획하여 실시한다.
·통증이나 불안감을 해소시켜준다.
·밤에는 가능한 충분히 휴식을 취하게 한다.
·인공호흡기 악세사리, 필터 등은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준다.
·응급상황을 대비하여 소생백, 산소마스크 등은 침상가에 항상 대비한다.
10. 질환
(1) Pneumonia 폐렴
- 폐실질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 특히 노년기의 가장 흔한 직접적인 사망원인이다.
① 원인 : 공기여과, 의식 상태 저하, 기관내 삽관, 흡연, 영양장애
② 증상 : 발열, 화농성객담을 동반한 기침, 흉부통증, 폐 타진시 탁음, 진동감 증가, 수포음, 폐외증상( 두통, 근육통, 피로, 인두염, 오심, 구토, 설사)
③ 진단 : 객담배양검사와 항생제 적합성 검사, 혈액배양 검사, 소변검사, 동맥혈가스분석을 시행한다. 흉부 x-선 촬영상에 폐렴부위는 하얗게 나타난다.
④ 합병증 : 가슴막염, 가슴막 삼출, 폐확장부전, 폐렴칠 지연, 폐고름집, 심장막염, 수막염 , 심내막염
⑤ 치료 : 광범위항생제를 초기에 사용하고, 항생제 적합성 검사결과에 따라 항생제를 바꾸어 투여한다. 항생제를 바꾸어 투여한다. 항생제를 주기 전에 병력조사, 과민반응이 있는지 물어보고 과민성 검사를 실시한다.
* 항생제의 부작용
- 설사, 구토, 구역, 연조직부작용, 가려움증, 발진, 과민성 쇼크 등을 관찰한다.( 증상 나타나면 즉시 보고 한다.)
(2)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
- 만성기관지염이나 폐공기증에 의해 공기흐름이 폐쇄되는 것이 특징인 폐질환이다.
① 원인 : 흡인, 기도감염, 유전적요인, 노화와 과녈ㄴ되어 유발 될 수 있다.
② 증상 : 폐공기증의 초기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는 심한 호흡이다. 가래의 양은 비교적 적고 호흡부전은 보통말기에 발생한다. 기도폐쇄는 매우 심하고, 항상 폐쇄되어 있으며 공기가 허파꽈리에 갇혀있어 과팽창 된다. 술통형 가슴을 보이며 체중이 감소되고 2차적으로 만성 기관지염이 발생된다.
③ 합병증 : 폐심장증, 만성기관지염의 악화, 급성호흡기능상실(호흡부전) 위궤양
④ 진단검사 1) 폐기능검사 : 1초 노력날숨폐활량, 노력중간날숨유속, 최대환기량, 노력 폐활량이 감소된다
2) 동맥혈가스분석 : PaO2 감소, PaCO2 상승, pH가 감소되면 만성 폐쇄폐질환의 말기 소견으로 해석한다.
⑤ 치료: 치료 목적은 환기증진, 가래제거, 합병증과 질병의 진행 예방, 환자안위와 질병관리에 참여
(3) Pulmonary tuberculosis 폐결핵
- 전염성 질환이다. 폐가 가장 잘 침범된다. 젊은층의 발병률이 높고 60대 전후에 발병률이 급증한다.
① 원인 : 원인균은 호기성이며, 항산성균이고 인체 내에서 천천히 증식하며 몸에 들어오면 그대로 남아 있다가 인체가 저항이 약해지면 즉시 증식하기 시작하여 질환이 발생된다.
② 증상 : 결핵은 천천히 발생하며 국소적으로는 기침과 객담이 있으나 객혈만의 조기증상은 객혈, 가슴막통증이 있다. 전신증상은 피로, 야간 발한, 불안정, 권태, 빈맥, 미열, 체중감소등
③ 진단 : 병력, 신체검진, 흉부X-선촬영검사, 튜베르쿨린 반응검사, 객담검사
④ 치료 : 약물요법은 폐결핵을 치료하고 전파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자적인 방법이다. 내약성이 빨리 생기기 때문에 항상 병용해서 사용한다. 최근 치료경향은 Isoniazid, Rifampin, Pyrazinamide에 Ethambutol이나 streptomycin 중 하나를 추가하는 병합요법이다. 약제를 최소한 3가지 이상 사용해야 한다. 결핵약은 하루에 몇 번씩 나누어 복용하는 것보다 한번에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4) Lung cancer 폐암
- 90% 이상은 기관지암에 속하며, 기관지나 세기관지로부터 발생하므로 기관지성 암이라고도 한다.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암 사망의 처 번째 원인이며 사망률 1위를 차지한다.
발병연령은 40세 이전은 드물고 50세 이상이 되면 급증하여 55~65세에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다. 성별발병률은 남성에서 3~4배 더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여성 흡연인구의 증가로 여성의 폐암 빈도가 증가하고 조기발견이 드물며 생존율이 저조한 편이다.
① 원인 : 폐암의 발병에 관계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 흡연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간접흡연도 페암 유발인자로 간주되고 있다. 폐암의 다른 위험요소로는 대기오염과 석면, 라돈, 비소, 니켈, 산화철, 우라늄, 크롬 같은 중금속, 산업장 발암 물질 등이다.
② 증상 : 폐암의 증상은 폐암의 종류, 발생부위, 전이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페암은 흔히 기도를 폐색시켜 기침(쌕쌕거림, 그렁거림). 호흡곤란을 유발한다. 폐암이 세기관지 말단부와 말초혈관 신경을 침범하면, 흉부, 어깨, 등의 통증이 발생한다. 편평상피암과 소세포암은 객혈을 일으킨다. 소세포암은 심장막 안을 침범하여 심장막안 삼출액이 발생하고 심하면 심장울림증(심낭압전)을 일으켜 심장 리듬을 변화시킨다. 에리하고 심한 국소적 통증이 흡기시 증가된다 가슴막삼출액과 호흡시 통증으로 폐확장이 감소된다.
③ 진단 : 객담 검사와 흉부 X-선 촬영 검사, MRI, 단일 광자 방출 단층촬영술, 기관지경 검사이다.
④ 치료
1) 수술요법
- 절제할 수 있는 페암 환자는 수술로써 치료한다. 침범 받은 부위를 완전하게 절제하면 완치시킬 수 있다. 침범된 페
에 연결 되어 있는 세로칸 림프절들을 전부 제거한다.
2) 방사선 요법
- 외과적 절제 전에 방사선을 투여하여 전이 위험을 줄이기도 하고 수술하기 어려운 종양을 작게 하여 수술이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3) 화학 요법
- 폐 절제술 후 예방적으로 화학요법을 시행한다. 약물을 기관지 동맥 카ㅔ터를 토앻 국소로 점적하기도 한다. 암세포가 가슴막삼출액에서 발견되면 예후가 매우 좋지 않다.
11. 호흡기계장애 대상자의 투여 약물
1) 기관지 확장제 - 천식, 만성 가관지염, 기종같은 만성폐질환 치료에 이용
① 교감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 α, β1(심장), β2(기관지) 활동을 가진 약물 - epinephrine, epedrine
α 작용 - 점막 부종 감소시키기 위해 혈관수축 매개
β2 작용 - 기관지 이완, 혈관 이완
β1 작용 - 심장에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 - 심박수 증가, 심근수축력 증가
- 급성천식 효과적. 작용시간 짧다.
- 피하, 근육주사 방법(1:1000 희석액)
- 부작용 : 순환기계; 빈맥, 심계항진, 부정맥
- 신경계 ; 어지러움, 두통, 불면증, 무력감
- 비뇨기계 ; 배뇨곤란
ⓑ β1, β2 효과를 모두 가지고 있는 약물 - isoproterenol
기관지 이완뿐 아니라 심장에도 작용하여 부작용 초래.
ⓒ β2에 선택적인 약물 - albuterol (ventolin), metaproterenol(Alupent), hexoprenaline (Ipradol),
fenoterol (berotec) :기관지천식, 경련성기관지염
2) Mucolytic agents (점액 용해약) : 거담제( expectorant)
점액의 점도를 감소시켜 분비물을 물게 함, 기침 증진시켜 폐, 기관지, 또는 기도로부터 점액이나 삼 출물 배출하게 함
‣ 약물 : Acetylcysteine (Mucomyst)face mask, mouth piece, 기관절개관 내로 분무.
- acetaminophen 과량 복용시 간에 대한 손상 감소시키기 위해 해독제로 사용
- 기관지 경련초래: 기관지 천식환자에게 금기. Bromhexine(Bisolvon), Ambroxol Hcl(mucopect)
3) 진해제 (Antitussives) - 연수에 있는 기침반사 억제
(1) 마약성 진해제 - Codeine sulfate : 폐암과 관련된 치료되지 않는 기침에 사용.
(2) 비마약성 진해제 - 기관지, 폐포, 늑막의 신전 수용체(stretch receptor)마비 시킴,
Benproperine(Cofrel); 감기, 기관지염, 폐결핵으로 인한 기침 치료
4) 기타 호흡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1) 천식 예방 치료제
• romolyn sodium (Intal) - histamine, leukotrienes, 대식세포, 천식과 관련 있는 기타 물질의 방출 억제하는 항염증 제제, 기관지 경련 및 기관지 천식 발작의 예방에 사용
• tratropium (Atrovent) - 흡입 후 국소적 기관지 이완을 일으키는 항콜린성 약물, COPD (만성 기 관지염 or 폐기종)에서 치료의 유지에 사용
'신규간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간호학 자주쓰는 약 (0) 2020.10.16 정신간호학 임상 검사 (0) 2020.10.16 아기 예방접종 주의사항 (0) 2020.10.14 장루 (0) 2020.10.14 갑상샘 절제술 이란 (0) 2020.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