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상처간호 드레싱 종류
    카테고리 없음 2020. 10. 14. 16:42
    728x90

    2) 상처간호

    * 상처란 외상에 의해 신체의 피부의 조직의 통합성이 파괴된 것을 의미. 상처는 수술과 같은 기계적인 힘으로 발생되거나 화상과 같은 자연적인 현상으로 일어날 수 있음.

    *드레싱은 민감하고 손상 받기 쉬운 상처를 보호하고 조직 회복과 재생증진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치료방법

     

    1. 드레싱의 목적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상처보호

    -외부자극으로부터 상처보호

    -압박으로 부종감소, 지혈도모

    -혈액, 분비물, 괴사조직 등 흡수

    -상처지지, 고정, 상처건조 방지

    -보온, 약물유지, 안위도모

     

    2. 드레싱의 종류

    ▲ 거즈드레싱

    ① Dry-to-Dry Dressing(건포드레싱)

    : 건포드레싱은 분비물이 적으며 1차 유합으로 치유되는 상처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찰과상이나 배액관이 없는 수술절개 상처에 흔히 사용.

    ② Wet-to-Dressing(습포드레싱)

    :깊이 패인 상처를 치유하는데 사용함. 즉 화상, 궤양, 욕창등과 같이 2차 유합에 의해 치유되는 광범위한 조직손실과 상처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됨.

    ③ Wet-to-Damp/Wet-to-Wet(습포드레싱)

    : 괴사조직이나 배액량이 많지 않고 육아조직으로 치유되어가는 상처에 사용된 상처표면이 치유되어가는 상처에 적절함

    ▲ 투명 필름드레싱 : 얇고 반투과성인 폴리우레탄 필름 접착제를 이용하는 드레싱 방법.

    <장점> 반투과성 보호막이 산소와 수증기 통과, 방수, 세균침입방지. 삼출물이 상처 표면에 남아 표면의 세포이동을 도움. 부착이 용이하며 목욕 시 상처를 보호할 수 있음.

    <단점> 흡수력이 없어 삼출물이 있을 경우 피부연화가 유발됨. 괴사, 감염 또는 다량의 삼출물이 있는 경우 부적합함. 제거 시 조직 손상이 유발될 수 있음.

    ▲ hydrocolloid 드레싱

    <장점> 얇고 납작한 모양의 드레싱. 상처의 삼출물을 흡수해서 부종을 감소시킴. 괴사조직이 안전하게 분해되며 육아와 상피화가 동시에 발생. 방수가 되므로 목욕이 가능. 제거 시 통증 없음.

    <단점> 감염상처, 삼출물이 많은 상처에는 금기. 불투명막이기 때문에 상처관찰 불가능.

    ▲ hydrogel 드레싱 : 수분에 기초한 비 접착식이며,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드레싱. 상처에 놓을 수 있는 시트, 무정형의 젤, 젤이 함유된 거즈 등의 몇 가지 형태가 있음.

    <장점> 습기를 제공하여 상처 조직 제거를 촉진, 삼출물을 흡수. 습기 있는 상처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치유를 도움

    <단점> 젤 드레싱은 비 접착성이며 놓여진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2차 드레싱을 해야 함.

     

    칼슘 알지네이트 드레싱 : 해초에서 추출한 천연 폴리사카라이드로 다양한 크기와 로프 형태로 구성되며, 분비물이 많은 상처에 사용

    <장점> 뛰어난 흡수력. 신경말단을 보호하며 통증경감, 미생물 분해가 가능. 지혈 성분 함유로 출혈성 상처의 지혈을 촉진

    <단점> 2차 드레싱이 필요. 혐기성 세균에 감염된 상처에는 폐쇄드레싱 병용이 부적합함. 건조한 상처나 괴사조직으로 덮인 상처에는 부적함.

    폼 : 흡수능력 우수, 비 접착성으로 드레싱 제거 시 통증 없음. 누수를 최소화시켜 침연방지, 부드러워서 쿠션효과가 있음.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