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간호사/간호케이스

소화성 궤양 정리, 수술

N95 2020. 10. 16. 02:46
728x90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1) 정의

① 펩신에 의한 십이지장 근위부, 위식도를 포함한 상부위장관의 궤양성 질환

② 펩신의 공격적 효과가 위와 십이지장의 방어능력(점막)보다 클 경우 발생

③ 위액(염산, 펩신)이 닿은 곳에서는 어디든지 발생 가능 

(2) 역학

① 서구 인구의 10%에서 발생, 위궤양(50~60대)과 십이지장궤양(40~50대) 호발

② 남성>여성, 갱년기 이후에는 남성과 여성에서의 발병률 비슷

③ 십이지장 궤양>위궤양

(3) 원인 

① Helicobacter pylori 감염

• 십이지장 궤양 환자(90%), 위궤양 환자(70%)에서 감염 발생

• Helicobacter pylori 감염자 20명 중 1~2명이 궤양으로 발전

• 만성위염 → 소화성 궤양으로 진전

② NSAIDs 사용(예. 아스피린) 자의 25%에서 궤양 발생 

 점막 방어기전의 손상 → 점액 생성에 필요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 작용

③ Zollinger-Ellison 증후군

 췌장의 섬세포에 드물게 발생하는 gastrinoma에 의해 가스트린이 비정상적으로 과다 분비되어 발생하는 십이지장이나 공장의 궤양 증후군

④ 기타 요인

• 가족력

 흡연 : 중탄산염 분비 감소

 알코올 : 산 분비 자극

 차, 커피, 콜라, 우유

 양념이 강한 음식 : 위 점막 자극

 스트레스 → 부신피질 활성화 → 위산분비 ↑, 점액 생성↓

 

(4) 병태생리

 위산, 펩신의 분비와 점막의 방어기전간의 불균형

 산에 대한 점막의 저항력 약화

 위산 분비 과다

 

(5) 증상

① 통증

② 가슴쓰림

③ 구토

④ 비교

 

(6) 합병증

① 출혈(위궤양에서 호발)

• 잠혈에서 토혈까지 다양, 빈혈이 발생하기도 함

• 경미 :쇠약감, 발한

• 내출혈 : 쇼크 증상(저혈압, 빈맥, 심계항진, 발한)

② 천공

• 십이지장 궤양에서 흔함

• 응급상황으로 심하고 날카로운 복부 통증(방사통 : 어깨, 등쪽으로 퍼짐)

• 천공 시 출혈과 함께 위산, 췌장효소, 담즙 등이 복강으로 유출되어 화학적 복막염을 유발, 이후 12시간 내에 세균성 복막염 발생

• 화학적 복막염, 세균성 패혈증, 저혈량성 shock 등 초래

• 장의 연동운동 감소로 마비성 장폐색

• 반동 압통을 동반, 복부가 경직되며 나무판자처럼 단단해짐

• 빈맥, 빈호흡, 발한, 혈압 하강, 얕은 호흡, 호흡곤란, 불안

③ 폐색

• 반복되는 궤양 형성과 치유 과정으로 인해 반흔 형성 → 유문부 폐색

• 통증, 구토 유발

 

(7) 진단

① 신체검진 : 통증, 위 주위 압통, 복부팽만

② UGI series

③ EGD+생검

④ Helicobacter pylori 검사

⑤ 위액검사 : 산의 과다 분비 확인

⑥ 대변의 잠혈 검사, CBC상 Hct, Hb 수치 낮아짐

⑦ 요소 호흡검사 : helicovacter pylori의 활동성 감염 유무

 

(8) 치료 및 간호

① 내과적 관리

 아스피린이나 NSAIDs류의 약물을 피하는 것이 좋음

 통증을 유발하는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기: 커피, 차, 콜라, 초콜릿 등 카페인 함유음식, 강한 양념음식 등

 우유는 즉각적 통증의 완화에는 도움이 되나, 우유의 단백질과 칼슘이 산분비를 자극하여 통증을 다시 일으키고 질병을 악화시키므로 피함

 식사는 소량씩 자주 일정한 간격으로, 그러나 잦은 간식은 산분비 증가

• 섬유질은 염증이 있는 점막을 자극하므로 잘 씹거나 익힘

 음주 및 흡연 자제

 

 

 

십이지장궤양

위궤양

연령, 성

• 30~50세, 남>여 3:1 소화성 궤양의 80%

• 45~54세가 가장 많음, 남=여

원인 

 과도한 산분비

• 음식물이 위에서 빨리 비워짐

 점막 방어능력 결함

 

장소

• 유문에서 0.5~2.5cm

• 위 기저부와 유문부 연결부위, 유문동

HCI 분비

 상승

• 정상에서 감소

증상

• 복부 중앙과 상복부의 타는 듯한 통증 

 공복 시 통증 : 공복시 유문괄약근이 이완되어 위산이 더 많이 흘러 들어감

• 식후 2~3시간 후 통증

 음식에 의해 완화

• 한밤중에 pain

• 좌상복부와 등 위쪽의 타는 듯한 느낌

• 식후 30분~1시간 후 통증(음식에 의해 악화)

• 구토 후에 완화

제산제

 효과있음

 효과없음

영양상태

• Good

• Poor

출혈

 흑색변>토혈

• 흑색변<토혈

 

 

② 외과적 관리

• 위의 산 분비 능력 감소, 악성 병변 제거, 응급상태 치료, 내과적 중재로 치료되지 않는 환자 치료

• 수술 전 투약

 - Neomycin : 피부 및 점막 감염에 광범위하게 사용

 - Mycostatin : 진균 감염 감소

• 미주신경절단술 : 위산 분비 줄이고 위동의 기능 보존

• 유문 형성술

• 위동 절제술

• 부분 위 절제술

• 전체 위 절제술 : 광범위한 위암에 대한 수술로 식도와 공장을 문합

 위절제술 비위관 삽입

- 목적: 수술 후 연동운동 감소로 인한 가스와 체액의 축적과 관련하여 생긴 압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삽입

- 튜브 배액이 잘 되지 않을 때는 환자의 자세를 변경하거나 처방에 따라 생리식염수로 부드럽게 세척할 수 있음

- 비위관이 막히는 경우 : 오심, 구토, 복부팽만, 설사 발생

- 과도한 위액 흡인 시 위산을 제거하므로 대사성 알칼리증이 발생할 수 있음

- 장음이 회복될 때까지 비위관 유지

③ 금속 이동 증후군

 위절제술 후에 잘 발생

• 초기 : 식후 5~30분에 발생, 수술 후 6~12개월 후 소실

- 증상 : 어지러움증, 빈맥, 실신, 발한, 창백, 심계항진, 설사, 오심

• 후기(식후 저혈당) : 식사 2~3시간 만에 발생

- 공장 안으로 고탄수화물 음식이 너무 빨리 들어가 혈당이 급격히 상승 → 인슐린의 과도 분비 → 저혈당 초래

- 증상 : 일반적인 저혈당 증상(허약, 발한, 혼돈, 심계항진, 불안 등)

 

• 간호

- 식이 : 고단백, 고지방, 저탄수화물, 수분이 적은 식이, 한번에 소량씩 섭취(고지방식이 섭취 시 위 내 정체율 증가)

- 체위 : 식사시 → 횡와위, 반횡와위

        식   후 → 앙와위, 좌측위

- 식사 1시간 전, 식사 시, 식후 2시간까지는 수분 섭취 제한

- 약물 : 항콜린성 약물로 위배출 속도 지연시킴

위식도 역류성 장애(GERD)

 

(1) 정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손상의 증세와 징후를 나타내는 질환

 

(2) 원인

① 하부 식도 괄약근의 부적절한 이완

② 유문 협착, 위 내용물 정체, 위액분비 과다 등으로 위 내용물 증가 시

③ 비만증,임신,복수, 기침 등으로 복압이 증가 하는 경우

④ 흡연

⑤ 식도 열공 탈장

 

 

 

(3) 증상

 가슴앓이

• 타는 듯한 감각, 약 75%의 환자에게 나타남

• 흉골 하부에서 시작, 양쪽 견갑골 사이, 목, 턱으로 방사

• 제산제나 수분 섭취 시 완화

 역류 : 쓴 맛 혹은 신맛을 인두에서 느낌

 연하곤란

④ 연하통 : 식사 직후나 앙와위시 발생, 제산제나 수분섭취로 완화

⑤ 소화불량

⑥ 위가 팽만 되었을 때 불편감이 생기고 서 있거나 걷게 되면 완화

⑦ 합병증 : 식도염, 식도 협착, barrett 식도, 식도 종양, 만성 기침, 폐렴

 

(4) 진단

① 전형적인 증상이 있는 경우 증상으로도 진단

② 바륨 연하 검사, 식도경, 세포학적 검사, 위액 검사 등

③ 24시간 식도 산도(pH) 감시법

 • 위식도 역류의 확진방법

 • 정상 pH는 6.5~7.0이나, 산역류가 있으면 pH 4.0 이하로 감소 

 

 

(5) 치료 및 간호중재

① 식이관리 및 생활 방식 변화

 소량씩 자주 섭취

 음식 통과 위해 수분 섭취, 천천히 먹고 충분히 씹을 것

 저지방, 고섬유식이섭취

 취침 2~3시간 전에 음식 섭취 금지

 취침시 머리 부분 10~15cm 상승

• 식후 바로 앙와위를 취하는 것은 금기

• 복압 상승 행동 제한 : 식사 후에 몸을 앞으로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배변시 힘을 지나치게 주지 않기, 꼭 조이는 옷은 입지 않기, 체중 감소

• 탄산음료, 빨대로 음료수 마시기, 가스 발생 음식 제한

② 내과적 치료

• 제산제(이미 분비된 산을 중화) : 식전 1시간, 식후 2~3시간에 복용

•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 위산 분비 감소

 위장운동증진제 : 위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빨리 배출되도록, metoclopramide

• 항콜린계 약물 금지 : LES 압력 감소 → 위 배출 속도 연장

③ 외과적 치료

• Nissen 추벽 형성술 : 식도 하부를 위 기저부로 감싸는 방법,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 Angelchich 보철 기구 삽입술 : C 모양의 실리콘 보철 기구로 식도의 하부 주위를 묶어줌